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서장 동아시아 지역사를 위하여
동아시아에 왜 ‘지역사’가 필요한가?
동아시아의 지역, 국가, 민중
연관과 비교의 지역사
제1장 해금시기의 국가와 사회
1. 동아시아 지역질서와 200년간의 평화
조공-책봉의 이념과 현실
명청 교체의 충격과 중화질서의 이완
해금 속의 대외인식
2. 문인사대부의 국가와 무사의 국가
문인사대부와 무사의 권력기반
국가의 권력구조
사회경제적 발전과 문화다원성
3. 농민사회와 민란
농민사회의 재생산 구조
공동체 질서의 붕괴와 생존의 한계
주기적 민란의 원인
제2장 세계시장의 확대와 지역질서의 변화
1. 유라시아 무역과 동아시아
아시아 역내무역
유라시아 무역과 동인도회사
자유무역과 아편
2. 불평등조약과 국가의 위기
동아시아의 개항: 조공체제에서 조약체재로
조약체제의 도래와 류우뀨우, 일본, 베트남, 조선의 대응
재정난의 심화와 국가 씨스템의 난맥
3. 개항장의 민중과 그 주변
개항장의 발전과 운송망
신문물과 외국인
개항의 확대에 따른 사회반응의 양극화
제3장 국민국가를 향한 개혁
1. 개혁구상의 지역연쇄
근대지식의 유통과 연쇄
개혁주체의 형성과 개혁정당화론
동아시아 국민국가 모델
2. 국민국가를 향한 제도개혁
개혁 추진과 국제적 관계
근대 학제, 신분에서 능력으로
입헌군주제의 모색
3. 근대화의 물결 앞에 놓인 민중
개혁비용의 부담과 민중생활
근대적 대중운동, 집회와 시위의 탄생
국수주의와 민중종교 현상
제4장 제국주의의 침략과 반제 민족운동
1. 청·일·러 세 제국의 패권경쟁
청일전쟁과 삼국간섭
러일전쟁과 민중의 제국의식
한국병합과 제국주의의 국제협력
2. 반제 민족운동과 국제연대
『베트남망국사』의 반항과 아시아주의
항일운동의 조직화와 통일전선
민족해방을 위한 국제연대
3. 이중의 억압, 소수민족의 운명
소수민족 문제의 연원, 내부식민화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운동
소수민족의 포섭과 배제
제5장 사회주의와 민중운동
1. 사회주의 수용의 지역연쇄
왜 사회주의였나
사회주의 수용의 여러 경로들
사회주의와 민족해방운동
2. 새로운 국민국가를 향한 모색
브나로드, 지식인과 노농대중의 결합
새로운 국민국가 건설 구상
혁명의 당면목표와 사회성격논쟁
3. 도시화와 대중사회
산업화·도시화의 진전
대중사회와 대중문화
대중운동의 활성화
참고문헌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