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 2010년 대한민국 서울
2.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
제1장 68년 파리와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
1. 도시학자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론
2. 프랑스 68 운동과 당시의 도시 상황
3. 도시에 대한 권리의 내용과 구성 요소
(1) 작품으로서의 도시와 작품에 대한 권리
(2) 전유의 권리
(3) 참여의 권리
(4) 도시 중심부에 대한 권리
(5) 차이의 권리와 정보의 권리
(6) 도시 거주자의 권리
(7) 르페브르의 이상 도시 - 파리 코뮌
(8) 도시에 대한 권리와 도시 혁명
4. 르페브르 논의의 후계자들
(1) 혁명적 관점의 계승
(2) 개혁적 관점의 계승
제2장 도시에 대한 권리의 실천 운동
1. 브라질의 도시법 제정 운동
2. 도시에 대한 권리 헌장 제정 운동
3. 유엔의 도시에 대한 권리 프로젝트
4. 도시에 대한 권리 - 누구를 위한 어떤 권리인가
5. 2010년 세계도시포럼 - 도시에 대한 권리
제3장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의 유용성과 한계
1. 인권 발달의 역사
(1) 현대 인권 개념의 등장과 유엔인권선언
(2) 사회권과 자유권
2. 국가 단위 인권 보장 체계와 최근의 균열
(1) 시민권의 영역 확장과 대상의 제한
(2) 세계화와 이주자 증가, 새로운 시민권의 모색
3. 권리 주장의 유용성
(1) 이기적 권리의 한계
(2) 인권 정치의 부각
(3) 보편적 인권의 이상
4. 도시 단위의 유용성
(1) 일상생활의 장소인 도시
(2) 민주주의의 실현 장소인 도시
(3) 세계화와 지역화
(4) 도시 단위 시민권의 대두
5.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의 한계
(1) 도시 개념 및 범위의 혼란
(2) 여성주의적 시각에서의 비판
6. 일본의 혁신 자치체와 시빌 미니멈 정책 사례
제4장 우리나라 도시 권리 운동의 가능성과 과제
1. 경제 성장 수준보다 뒤처진 인권 수준
2. 도시에 대한 권리와 관련된 실천 운동들
(1) 주거권 확보 운동
(2) 보행권과 장애인 이동권 운동
(3) 이주 노동자 권리 운동
(4) 지방 자치 단체의 인권 조례 제정 운동
(5) 도시 행정에 대한 참여 운동
3. 도시 권리 운동을 위한 상상력
4. 도시에 대한 권리 주장의 현실적 과제
맺는 말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