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사회의 평가기준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로 우리가 막연하게만 알고 있던 놀라운 사실들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헤치고 흥미로운 문체로 풀어내고 있다. <교수는 무엇으로 판단하는가>는 미국학계의 인문과 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실제 시행되고 있는 연구비 지원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학문적 평가인 ‘동료평가’(peer review)에 관한 책이다.
목차
옮긴이의 말
Chapter 01 동료평가의 블랙박스를 열며
Chapter 02 패널의 작동 방식 프로그램의 목적과 평가 기준 임용과 프로그램 관리자의 역할 평가위원의 선정 사전 선별자의 역할 평가위원의 작업 패널 심의의 역학 결론
Chapter 03 분과문화에 대하여 해석적·경험적 분과학문 철학의 ‘난감한 사례’ 영문학의 ‘정당성 위기’ 역사학, 합의적 학문 인류학의 취약한 경계 정치학: 대립을 초래하는 합리적 선택 경제학: 수학적 형식주의에 의해 통합된 학문 결론
Chapter 04 실용적 공정성: 심의의 관습적 규칙들 관습적 규범을 통한 정당선과 신뢰의 생산 훌륭한 평가위원을 만드는 것 심의의 핵심 규칙들 동맹, 전략적 투표, 그리고 거래 개인적 이해관계와 인맥 배제하기 괴팍스러운 취향과 자기 재생산을 넘어 방법론적 다원주의 권장하기 분과학문의 편견 제쳐 두기 정당성의 한계: 규칙 위반하기 패널 결과에 대한 외부의 영향 결론
Chapter 05 수월성의 다양한 종류 인식하기 지원서의 요소들 수월성을 인지하는 6가지 기준 비공식적, ‘섬세한’ 평가 기준 지원자의 도덕적 자질 결론
Chapter 06 학제성과 다양성에 대한 고려 학제적 평가의 보상과 도전 원마한 수행 그것을 잘 평가하기 다양성 기준 포함시키기 많은 다양성 촉진하기-이유와 방법 수월성 대 다양성 다양성에 대한 관점: 유색인 평가위원들 젠더 편견의 인식 제도적인 긍정적 입법 연구 주제와 관련된 긍정적 입법 결론
Chapter 07 미국와 외국에 대한 함의 미국의 평가 모델 외국에 수출하기 동료평가에 대한 훨씬 더 사회적인 관점을 향하여 다른 유형의 평가에 대한 함의
비싼 대학 : 미국 명문대는 등록금을 어떻게 탕진하는가2013 / 앤드류 해커 ; 클로디아 드라이퍼스 지음 ; 김은하 ; 박수련 옮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대학 홍보의 법칙 : 언론에 보도되는 42가지 전략2014 / 김완준 지음 / 한울
그들은 왜 기러기가족을 선택했는가 : 말레이시아 조기유학 현장보고 = Why choosing to be "wild goose family?" : a field report on early study abroad in Malaysia2013 / 성정현, 홍석준 지음 / 한울
괴물이 된 대학 : 자본의 꼭두각시가 된 한국 대학 구조조정 백서2015 / 김창인 지음 / 시대의창
벤 샤피로의 세뇌 : 미국 대학은 어떻게 좌경화되고 있는가 2020 / 벤 샤피로 지음 ; 이남규 옮김 / 기파랑
공부의 배신 : 왜 하버드생은 바보가 되었나2015 / 지음: 윌리엄 데레저위츠, 옮김: 김선희 / 다른
옥스퍼드 튜토리얼 :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 옥스퍼드의 천년 교수법2019 / 지음: 리처드 도킨스 외 ; 엮음: 데이비드 팰프리먼 ; 옮김: 노윤기 / 바다
하버드가 지배한다2005 / 리처드 브래들리 지음 ; 문은실 옮김 / 생각의 나무
대학의 미래 : 어디서나 닿을 수 있는 열린 교육의 탄생2016 / 지음: 케빈 캐리 ; 옮김: 공지민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