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와타나베 나오키를 중심으로 2006년 봄부터 2010년 현재까지 도쿄의 무사시대학에서 계속되어 온 '인문평론연구회'의 결코 짧지 않은 탐구의 연구 성과를 담은 책이다. 식민지 말의 문학 및 문화현상과 관련된 전체 4부 13편의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 근대문학 연구, 식민지 말 문화 현상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구심점을 마련해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제1부 전시(戰時) 지적 협력의 논리 구조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 차승기
1. 비상사태(예외상태)-비결정성의 세계
2. 사실/허구의 전도와 정신의 위기
3. ‘사실’또는 새로운 직접성
4. 우연성과 아이러니, 또는 ‘사실’ 을 대하는 잠정적 도덕 격률
5. ‘현실’ 표상의 붕괴와 생활의 발견
6. 시정(市井), 풍속 또는 ‘사실’의 문학화
7. 협력의 윤리적 공간
최재서의 Order / 미하라 요시아키[三原芳秋]
1. Jaisou Choe, Seoul 1963
2. 최재서와 반(反)낭만주의
3. 풍자문학론-‘그 자신의 주인’
4. 『인문평론(人文評論)』-Order 없는 order
5. 『국민문학(國民文學)』-최재서의 ‘전향’
6. 이시다 고조[石田耕造] 게이죠[京城]ㆍ쇼와[昭和] 19년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 농민문학과 ‘만주’ - ‘협화’의 서사와 ‘재발명된 농본주의’ / 와타나베 나오키[渡辺直紀]
1. 머리말
2. 만보산사건. ‘재발명된 농본주의’, 개척문학
3. ‘협화’ 의 서사와 ‘재발명된 농본주의‘
4. ‘만주’를 바라보는 지정학적 상상력-결론에 대신하여

제2부 세계ㆍ제국ㆍ로컬-문화의 위계와 고통의 네트워크
제국 인본과 번역(없는)정치 - 루쉰ㆍ룽잉쭝ㆍ김사량,‘아큐(阿Q)'적 삶과 주권 / 황호덕
1. “흔들리는 손” -비어(秘語)와 정치
2. 제국문단의 두 문우(文友)-연옥에서 보낸 한철
3. 「아Q정전」과 「Q백작」-루쉰과 조선문학
4. 예외상태, 예외적 삶-예와 예의
일그러진 동심 -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조이 코가와의 『오바상』에 그려진 인종차별의 문제 / 테드구센(Ted Goossen)
1. 재교육된 제국문학-어린이라는 타자 혹은 나
2. 복자(伏字)들의 이면, ‘어둠 속으로’-김사량의「빛 속으로」
3. 일본계 ‘캐네디안’ -조이코가와의 『오바상』
4. 인종의 침묵, 인간의 목소리-어린이, 위대한 생존자
제국, 민족, 그리고 소수자 작가 - 식민지 사소설과 식민지인 재현 난제 / 권나영(Nayong Aimee Kwon)
1. 머리말
2. ‘식민지 사소설’ -김사량과 아쿠타가와 문학상
3.「빛 속으로」-제국의 파편화된 정체성들
4. 두 식민지 작가들의 양가적 서신교환
5. 식민지 조선문학-제국의 ‘지방’ 문학
6. 맺음말

제3부 시학, 정치, 자본-국민문학의 이념과 시장
일제 말 조선인이 쓴 일본어 시의 전개과정 / 김응교
1. ‘국민문학’과 일본어 시
2. 일본어‘국민의’의 전개과정
3. 전쟁과정과 관련 없는 ‘조선적인 일본어 시’
4. 일본어 시의 연도별 작품 분포-『근대조선문학 일본어 작품집』과 『국민문학』의 경우
5. 일본어 시의 소멸과 재탄생-결론
김종한(金鍾漢0의 전향(轉向) 과정에 대하여 / 심원섭
1. 서론
2. 전향 전의 김종한
3. ‘이상적 시’와 현실의 문제
4. 유린되어 가는 청춘의 애가(哀歌)-전쟁시「살구꽃처럼」
5. 최초의 ‘사실수리론’ 과 ’신지방주의론‘
6. 전향 이후, 김종한의 전향 스타일
7. 결론
일제시대 마해송의 행적과 일본잡지 - 기쿠치간, 『모던니혼』, 조선예술상을 중심으로 / 곽형덕
1. 시작하며
2. 출판인 마해송×아동작가 마해송
3. 마해송과 니혼대학
4. 마해송과 기쿠치 간
5. 마해송과 『문예춘추』
6. 마해송과『모던니혼』
7. 마해송과『모던니혼』(조선판) 및 ‘조선예술상’
8. 끝내며
출판신체제의 성립과 조선문단의 사정 / 이종호
1. 전시체제기, 판권지(板權紙)의 전언
2. 출판신체제의 성립-유통의 광역화와 생산의 지역화
3. 광역적 유통망의 최전선-『출판보급(出版普及)』과 『잡지연감(雜誌年鑑)』, 그리고 조선의 위치
4. 조선문단의 행로와 사정- 그 일단면

제4부 미디어, 표상, 국민문화
프로파간다 영화에 나타난 젠더와 국가 - 『사무라이의 딸』과 『망루의 결사대』를 중심으로 / 이주연(Jooyeon Rhee)
1. 들어가며
2. 저항과 굴복의 함수관계
3. 창조적 예술로서의 정치적 프로파간다와 언어의 문제
4. 언어의 근원과 여성-<사무라이의 딸>
5. 대동아 공영권 안에서의 자매애-<망루의 결사대>
6. 맺음말
식민지 조선의 국민 연극 연구 - 조선연극문화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 이재명
1. 문제의 제기
2. 본론
3. 결어
무법과 범법, 쿠데타 이후의 주먹들 1960년대 한국 액션영화의 두 계열 / 이영재
1. 영화와 법- ‘국가’ 들은 반복한다
2. 법도 가깝고 주먹도 가깝다-법학자 박정희의 주권권력
3. 내 건 내가 지킨다-<노다지>,죄 없는 ‘살인의 추억’
4. 복종하는 야수는 경차의 국적을 묻지 않는다-<팔도사나이>의 범법자들
5. 믿지 않는 자가 승리한다-<쇠사슬을 끊어라>의 무법자들

저자/역자소개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 개혁개방과 중국조선족 소설문학 2001 / 오상순 저 / 월인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 문학의 숲에서 느리게 걷기 2004 / 오생근 [저] / 문학과지성사
정명환 : 깊이 읽기 정명환 : 깊이 읽기 2009 / 오생근 ; 정과리 [공] 엮음 / 문학과지성사
정명환 : 깊이 읽기 정명환 : 깊이 읽기 2009 / 오생근 ; 정과리 [공] 엮음 / 문학과지성사
우상의 눈물 우상의 눈물 2005 / 오세영 지음 / 문학동네
滿洲移民文學硏究 滿洲移民文學硏究 2007 / 吳養鎬 著 / 문예출판사
비평의 모험 비평의 모험 2005 / 오창은 지음 / 실천문학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 Behind the lines : culture in late colonical Korea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 : 식민지 말 조선의 담론과 표상 = Behind the lines : culture in late colonical Korea 2010 / 와타나베 나오키 ; 황호덕 ; 김응교 편 / 소명출판
조명희와 선봉 조명희와 선봉 2005 / 우정권 편 / 역락
나무의 수사학 나무의 수사학 2018 / 지음: 우찬제 / 문학과지성사
나무의 수사학 나무의 수사학 2018 / 지음: 우찬제 / 문학과지성사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 2007 / 원종찬 지음 / 창비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 동화와 어린이 : 원종찬 평론집 2007 / 원종찬 지음 / 창비
북한의 아동문학 : 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 북한의 아동문학 : 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 2012 / 원종찬 지음 / 청동거울
근대성과 한국문학 연구 근대성과 한국문학 연구 2002 / 유임하 저 / 이회문화사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큰글)현대수필. 16, 노천명3 : [큰글자도서] (큰글)현대수필. 16, 노천명3 : [큰글자도서] 2014 / 지음: 노천명 ; 엮음: 큰글편집부 / 큰글
문학은 노래다 : 북뮤지션 제갈인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문학은 노래다 : 북뮤지션 제갈인철의 문학과 인생 이야기 2015 / 제갈인철 지음 / 북바이북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2019 / 권정자 외 지음 / 남해의봄날
예술가의 여관 : 나혜석·김일엽·이응노를 품은 수덕여관의 기억 예술가의 여관 : 나혜석·김일엽·이응노를 품은 수덕여관의 기억 2016 / 지음: 임수진 / 이야기나무
기형도 전집 : 시·소설·산문·자료 기형도 전집 : 시·소설·산문·자료 2010 / 엮음: 기형도 전집 편집위원회 / 문학과지성사
문학 속의 인천, 인천의 문학 문학 속의 인천, 인천의 문학 2014 / 지음: 이현식, 이경재, 염희경, 김윤식, 조강석, 장석남, 안보윤, 임선기, 편저: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글로벌콘텐츠
仁川문학전람 : 한국문학의 산실 仁川문학전람 : 한국문학의 산실 2015 / 지음: 경인일보 특별취재팀 / 다인아트
인천고전문학의 이해 인천고전문학의 이해 2010 / 이영태 지음 / 다인아트
문학으로 인천을 읽다 문학으로 인천을 읽다 2010 / 지음: 이희환 / 작가들
한하운 전집 한하운 전집 2010 / 지음: [한하운 ], 옮김: 인천문화재단 한하운 전집 편집위원회 / 문학과지성사
시로 읽자, 우리 역사 시로 읽자, 우리 역사 2013 / 강영준 지음 / 창비
김수영 전집. 1, 시 김수영 전집. 1, 시 2019 / 지음: 김수영 / 민음사
비평의 고독 = Solitude of criticism : 권성우 비평집 비평의 고독 = Solitude of criticism : 권성우 비평집 2016 / 지음: 권성우 / 소명출판
4월혁명과 한국문학 4월혁명과 한국문학 2002 / 최원식 ; 임규찬 엮음 / 창작과비평사
문화도시로 가는 길 : 지역문학과 문화에 대한 성찰 문화도시로 가는 길 : 지역문학과 문화에 대한 성찰 2004 / 이현식 著 / 다인아트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