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문학 콘서트 시리즈 세 번째 책. 이어령, 이덕일, 정옥자, 송호근, 허동현, 전봉관, 전우용 등 한국학 분야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한국사를 탐색한다. 부정을 긍정으로 변화시키는 한국인의 놀라운 힘은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발현했는지, 평가가 엇갈렸던 한국 근현대사의 진실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재미있고 유익한 담론들을 만날 수 있다.
목차
책 머리에 - 창의성의 원천은 인문학이다 / 김갑수
제1부. 시대를 생각하다
한국인의 시대정신 / 이어령
사회현실의 언어, 인간본질의 언어
한국인의 역사는 불행한 역사인가
부정에서 긍정으로
창조적 비전
급변하는 현실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새로운 시대, 새로운 발전 전략
자존심을 긍정적으로 실현하라
배운 것을 지우고 네 생각으로 가슴을 채워라
미래 한국 사회를 위하여 / 송호근
한국인의 평등주의 심리
민주화와 평등주의 심성
좌·우를 넘어 실용주의 지도를 그리다
민족주의와 세계주의를 아우르다
386을 돌아보다
미래 한국 사회의 비전
한국의 민족주의 / 허동현
민족의 형성
한국 민족주의의 근원
민족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탈민족주의 과제
제국시대, 리더십이 문제다
열린 민족주의를 말한다
민족주의는 진화해야 한다
제2부. 우리 역사의 발자취를 더듬다
선비의 나라, 한국 / 정옥자
선비는 누구인가?
이상적인 선비의 모습
사림(士林)과 붕당(朋黨)
세도정치와 중인의 등장
이 시대의 사표(師表), 선비
조선의 왕 / 이덕일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태종과 세조는 왜 악역을 자처했나
연산군과 광해군은 왜 쫓겨났나
선조와 인조, 전란을 겪은 군주들
성종과 영조, 반만 성공한 군주들
우리는 어떤 리더를 원하는가
한류의 기원, 조선통신사 / 허경진
일본, 조선통신사를 요청하다
통신사의 임무
조선통신사의 구성
조선통신사가 일으킨 한류 열풍
중인계층의 부상
오늘날 되새겨보는 조선통신사의 의의
한국의 골드러시 / 전봉관
이념의 시대, 그리고 골드러시
황금광시대 도래의 배경
광업권 투기 열풍
지식인들의 골드러시
일제시대 금광왕들
황금광시대의 교훈
한국의 수도, 서울을 탐색하다 / 전우용
서울의 의미
서울 도읍의 이념적 배경
도시 서울의 모습
서울의 지정학적 특권
일제가 훼손한 조선의 궁
제3부. 현대사의 길목에 서다
한국 근대화의 유산 / 이완범
광복인가, 해방인가
내재적 발전론 vs 식민지 근대화론
해방공간, 그리고 그 이후
한강의 기적
한국인의 발전 DNA
다원주의 포용의 정치
한국의 광복 / 김용직
빼앗긴 들에 찾아온 봄, 광복
독립운동의 전개
독립운동의 세 갈래
친일 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광복, 미래의 과제
한국전쟁 / 박태균
한국전쟁의 기원
한국전쟁의 전개
정전협상과 포로송환
한국전쟁, 무엇을 남겼나
한국전쟁의 교훈
한국 땅, 독도 / 정병준
독도 문제의 재조명
독도 분쟁의 역사
독도 문제에 대한 미국의 태도
독도 문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