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 역모 사건의 진실게임> 등을 통해 다양한 인간들의 삶의 전략들을 파헤쳐 역사적 인간에 호흡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은 백승종의 역사서. 18세기 한국사회의 새로운 얼굴을 부조해낸다. 저자는 1791년에 벌어진 한 사건의 관련 기록을 차례로 분석함으로써 강이천으로 대표되는 일군의 지식인들과 국왕 정조 사이에 심각한 '문화투쟁'이 전개되었음을 밝힌다.
목차
머리말 강이천 사건 연보
1장 작업 가설─18세기 조선, 불온한 상상력으로 물들다 첫 인상 세 사람, 강이천과 김건순 그리고 정조 또 하나의 의문─천주교와 정감록 연구 성과의 탐색─스즈키의 〈조선 후기 천주교 사상과 ‘정감록’〉비평 가설: 강이천과 국왕 정조는 “문화투쟁”을 벌였다!
2장 사건 스케치─진사에서 불량선비로 유망선비와 불량선비의 갈림길에서 강이천 사건의 재구성 머릿속을 오가는 몇 가지 의문점 죄인들의 심문 현장으로 《일성록》 읽기─1797년 형조의 심문 기록 속으로
3장 정조의 사건 처리─소품을 박멸하라 문화투쟁이다! 소품과 천주교와 강이천 사건, 그 3자의 관계 소품이 사학으로 가니 정조의 “문체반정”, 어떻게 볼 것인가 천주교를 거론하지 마라 1790년대 조선 천주교회의 교리 지식과 교리서
4장 신유박해의 소용돌이에서 강이천 사건, 재연되다! 《노상추일기》에서 만난 강이천 사건 《추안급국안》에 드러난 강이천의 심문 전략 강이천과 김건순의 서울 회동 사료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미궁에 빠지기 쉬운 역모 사건의 해석 강이천의 죽음, 어떻게 볼 것인가 자료 더 읽기: 주변인들의 최후 진술
5장 천주교와 김건순 김건순은 왜 천주교를 선택했는가 천주교와 지식인 서양 배와 천주교 역사학의 글쓰기
6장 여언餘言: 그들을 위하여 정조의 이념적 경직성, 고도로 계산된 통치 전략 강이천이라는 사람 그리고 그가 꿈꾼 세상 김려, 그와 강이천의 우정에 대하여 김건순을 말한다 소수자의 시선─김이백과 이주황과 김신국의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입장
주석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영조와 정조의 나라1998 / 박광용 저 / 푸른역사
아버지의 특별한 딸 : 『한중록』으로 본 혜경궁 홍씨 2020 / 지음: 박정애 / 메멘토
아버지의 특별한 딸 : 『한중록』으로 본 혜경궁 홍씨 2020 / 지음: 박정애 / 메멘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