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여론, 정책, 외교 전문가 5명은 신드롬에 비유될 수 있는 ‘박근혜 현상’을 정의하고, 객관적인 자료와 여론을 바탕으로 정치적·사회적·시대적 관점에서 분석·해명했다. 무엇보다 박근혜의 측근이나 친박 성향 인사가 아닌 비판적 진보 및 중도 성향의 전문가들이 객관적인 시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목차
서문|현실 속의 현상 ‘박근혜’ 를 해명하다
1 박근혜의 힘을 낳는 정치구도와 전략 ‘박근혜 파워’ 의 원천은 무엇인가 박근혜의 힘을 낳는 구도Ⅰ: 정치 박근혜의 힘을 낳는 구도Ⅱ: 정책과 지역 박근혜의 힘을 낳는 구도Ⅲ: 역사적 흐름이 낳은 인식perception 2007년 경선 대선전략: 박근혜의 원칙 리더십 2012 대선전략: 서민주의적 중도 스탠스 박근혜 대세론, 2012 최후의 승자는
2 포스트모던 시대, 박근혜 정치의 작동방식 문제제기: ‘진짜배기real thing들’ 의 등장 개념적 프리즘: 진정성 정치의 문법 시간대의 다양성: 고대적이거나 포스트모던한 진정성 정치 진정성 정치의 두 가지 버전: 진보와 보수 독재자의 딸과 ‘박근혜’표 진정성 정치 진정성의 화법: 귀족적 포퓰리스트 진정성 정치를 향한 박근혜의 도전
3 박근혜 현상을 보는 또 다른 눈 관람자의 시선으로: ‘박근혜 현상’ 에 박근혜는 있는가 박근혜의 캐릭터는 ‘신비’ 팝콘과 콜라를 들고 보는 ‘박근혜’ 편 만남 이전의 만남: 대통령의 딸 신화적 구조분석: ‘공주의 신화’ 매스미디어가 재현한 이미지:‘그녀는 성녀聖女’ 대중담론의 모순성: 낮은 데로 임하는 자에 대한 영접 박근혜 가치의 클론들: 산업화 세대 트라우마: 절망과 싸우는 박근혜 박근혜 담론: 좌냐 우냐 박근혜의 이름으로 자기보존의 욕망과 대중의 선택
4 여론을 통해 본 박근혜의 강점과 딜레마 대통령급 정치인 박근혜 박근혜 현상의 형성과정 박근혜의 정치자산 현재권력과 미래권력 간의 경쟁: 여당 속의 야당, 박근혜 여론으로 본 박근혜 딜레마 보수지도자 박근혜와 2012 대선 드라마
5 냉전과 탈냉전의 회색 아우라, 박근혜 현실적 외교정책과 박근혜 리더십 냉전적 아비투스habitus와 현실적 구조의 충돌 냉전·보수적 지지기반과 탈냉전 한반도 주변정세와의 충돌 보수적 경직성과 현실적 유연성이 충돌하는 회색의 아우라 3단계 통일론 VS 보수적 리더십의 갈등 소용돌이치는 한반도, 그리고 2012년의 역동성 제1기 레이건과 제2기 레이건 사이, 그 언저리 어딘가에? 경직된 이념주의인가? 실사구시 현실정책인가?
좌담|왜 박근혜 현상에 주목해야 하는가?
서가브라우징
사람이 먼저다 : 문재인의 힘2012 / 문재인 지음 / 퍼플카우
(문재인의) 운명2011 / 문재인 지음 / 가교출판
(문재인의) 운명2011 / 문재인 지음 / 가교출판
문재인을 읽는 권력지도 : 문재인의 사람들 303명 총력해부2017 / 글: 문갑식, 최우석, 박희석, 김정현 / 月刊朝鮮
1219 끝이 시작이다 2013 / 문재인 지음 / 바다출판사
(4차 산업혁명과) 안철수 : 《안철수의 생각》 그 후, 미래 국가경영 플랜2017 / 문형남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짐승의 시간 : 김근태, 남영동 22일간의 기록2014 / 만화: 박건웅 / 보리
박근혜 현상 : 진보논객, 대중 속의 박근혜를 해명하다2010 / 김종욱, 김헌태, 안병진, 이철희, 정한울 지음 / 위즈덤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