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Discovery of Korean Culture
Preface
저자의 말
제1부 사군자의 이해
1. 사군자의 뜻
사군자란 무엇인가
사군자 명칭의 유래
사군자 그림의 사상적 연원
2. 사군자 문화와 문인들의 애호
매화를 좋아한 중국 문인들
매화를 좋아한 한국 문인들
난을 좋아한 중국 문인들
sb - 굴원의 난과 오늘날의 난은 달라
난을 좋아한 한국 문인들
국화를 좋아한 중국 문인들
국화를 좋아한 한국 문인들
대나무를 좋아한 중국 문인들
대나무를 좋아한 한국 문인들
3. 사군자 고사와 고사화(故事畵)
매화 찾아 떠난 여행, 탐매도
은일의 상징, 매화서옥도
도연명 고사와 국화도
죽림칠현도와 왕휘지애죽도
4. 사군자화의 발달
그림으로 그려진 매란국죽
매란국죽이 사군자로
우리나라의 사군자화
한·중·일이 다른 사군자의 계절 상징
5. 근대 이후 사군자화의 변화
조선미술전람회와 사군자의 위상
선화 화제의 변화, 매죽에서 난죽으로
사군자 위상의 변화
제2부 고고한 기품의 매화 그림
1. 매화 그림의 전개
2. 간결한 구성의 형식미, 15~17세기의 매화 그림
어몽룡의 〈월매도〉
조속의 〈묵매도〉
sb - 16~17세기 매화도와 『매화희신보』
조지운의 매화도
오달재의 〈설매〉와 〈묵매〉
3. 부드러운 가지에 어린 서정, 18세기의 매화 그림
강세황의 고결한 노매도
심사정의 매화도와 그 영향
이인상과 매화 감상
정약용의 매조도
김홍도의 매화도
김수철의 석매도
4. 매화도의 화려한 변신, 19세기
조희룡의 매화도
유숙의 〈홍백매팔곡병〉
장승업과 근대의 매화도
허련의 매화도
정신성을 강조한 문인화가들의 매화도
제3부 맑은 향기 머금은 난 그림
1. 난 그림의 전개
2. 절제된 엄숙미, 15~17세기의 난 그림
왕공사대부들의 묵란
이징의 묵란
3. 다채로운 변화 속의 격조, 18세기의 난 그림
강세황의 묵란
이인상의 묵란
임희지의 묵란
4. 묵란화의 전성기, 19세기
김정희의 난 그림과 그 영향
조희룡의 묵란
허련의 묵란
이하응의 난 그림
이하응 난법의 영향
민영익과 근대의 묵란
제4부 서리를 이긴 은은향 향취의 국화 그림
1. 국화 그림의 전개
2. 소박한 기품을 담다, 15~17세기의 국화 그림
홍진구의 묵국도
윤두서의 국화 그림
3. 완상 문화의 발달과 묵국도, 18세기
화보풍의 묵국화
정조의 국화도
이인상의 병국도
유신의 국화 화분
4. 분방한 필치와 장식적 경향, 19세기의 국화 그림
개성 있는 필치의 국화 그림들
품종이 다양해진 그림 속 국화
장성업과 근대화가들의 국화도
제5부 허심의 공간미 담은 대나무 그림
1. 대나무 그림의 전개
2. 고난의 역사와 대나무, 15~17세기
15~16세기의 묵죽화
이정의 묵죽
조익의 청죽
3. 묵죽화의 다양한 변화, 18세기
유덕장의 절죽(切竹)
심사정과 강세황의 묵죽
신위의 묵죽
송상래의 묵죽
김홍도와 직업화가들의 묵죽
4. 댓잎에 서린 문인들의 의취, 19세기
조희룡의 묵죽
허련의 묵죽
정학교의 묵죽
송수면의 전통적인 묵죽
민영익의 파격적 묵죽
김규진의 풍죽
제6부 생활 속의 사군자
1. 공예품에 그려진 사군자화
매화 문양
난 문양
국화 문양
대나무 문양
2. 민화로 태어난 사군자
장식성을 강조한 매화
묵란 전통을 이은 난 그림
만인의 사랑을 받은 국화
부귀·장수의 상징 대나무
부록
주(註)
이밖에 더 읽을 만한 책들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