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춤꾼이자 무용학 박사인 김지원 교수가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해 한국 춤을 읽어낸 책. 전공 연구가에게는 춤의 언어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일반 독자에게는 춤, 그 소통의 기호를 이해하고 춤이 주는 메시지를 분석하는 능동적인 관객으로 거듭나게 함으로써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기호의 세계, 무용기호학의 정립
01 세계(우주)와 기호, 예술과 기호현상
기호의 세계에 관하여
자연의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나선형
예술과 기호현상: 예술기호의 숨은 언어(그림) 찾기
02 현대 기호학의 정립
현대 기호학 이론
무용기호학의 방향과 방법론
제2부 무용기호학의 이론과 실제
03 무용 텍스트와 기호
sign, symbol의 차이에 의한 무용언어들
무용기호의 요소
무용기호학의 변별적 영역과 기호현상, 무용 텍스트의 현상
무용 텍스트의 언어학적 해석
무용 텍스트의 소통학적 해석
04 코드와 탈코드화, 그리고 무용 커뮤니케이션
무용기호와 코드화
무용 텍스트의 코드와 탈코드화
탈커뮤니케이션
05 기호학으로 읽어낸 한국 춤 텍스트
기표와 기의에 관한 소쉬르의 기호학 적용: 설장구놀이로부터 춤 변용으로싀 텍스트
퍼스 기호학의 적용방법론
그레마스 기호학의 무용 분석적 적용: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바르트 기호학을 통한 춤의 신화적 의미 분석: 지전춤을 중심으로
소통언어로의 치환, 춤의 탈커뮤니케이션: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한국 춤의 의미체계에 관한 화쟁기호학적 접근: 살풀이춤을 중심으로
예술기호로서 춤 텍스트 읽기: 송파산대놀이를 중심으로
06 한국 무용기호학의 방향에 대하여
또 하나의 무용대본, 기록법을 향하여
한국 무용기록법에서 기호학의 부재와 전망
의미와 소통의 기호로서 무용학의 정립 방향
용어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표 차례
표 2-1. 퍼스의 삼원론에 따른 기호의 분류
표 2-2. 기호의 삼분법적 구조와 세 가지 존재 양상에 의한 하위기호의 조합
표 2-3. 그레마스의 의미생성 경로
표 2-4. 파비스의 상연기호 분류
표 3-1. 기호의 성질과 예술기호의 언어적 기능
표 3-2. 의미해석체로서 기호현상에 관한 이론과 실례
표 3-3. 예술적 이미지로서 기호현상에 관한 이론과 실례
표 3-4. 춤의 언어적 표기에 관한 해석
표 3-5. 인간의 신체공간에 대한 상징적 해석
표 3-6. 춤의 미적 소재와 기능에 관한 예ㅜㄹ학적 해석
표 3-7. 춤 기호에 관한 의미해석의 요소
표 4-1. 무용의 상연기호와 하위기호의 개념
표 4-2. 복합적·총체적 무용기호
표 4-3. 구상적 코드화의 원리
표 4-4. 킬리안과 프렐조카주의 <결혼 Les Noced> 텍스트 비교
표 4-5. 추상적 코드화의 원리
표 4-6. 코드의 분류
표 4-7. 무용 코드화의 시공간성
표 4-8. 비구두 몸짓의 탈코드화 가능성
표 5-1. 이경화 설장구춤의 텍스트 읽기
표 5-2. 설장구놀이에서 설장구춤으로 변용된 형태의 특징
표 5-3. 퍼스의 삼원론에 의한 한국 춤의 삼원론적 기호체계
표 5-4. 살풀이춤 동작과 관련한 소통의 의미 분석
표 5-5. 체용상 체계에 따른 한국 춤의 은유적 인식과 의미작용
표 5-6. 체용상 체계에 따른 한국 춤의 환유적 인식과 의미작용
표 5-7. 용춤 동작소의 기호체계와 의미
표 5-8. 고리체 사위의 의미체계
표 5-9. 여며채기 사위의 의미체계
표 5-10. 수건뿌리기 사위의 의미체계
표 5-11. 어깨걸이와 어르기 사위의 의미체계
표 5-12. 살풀이춤 동작의 회귀적 시공간성
표 5-13. 춤 텍스트의 예술기호 읽기
표 5-14. 신체와 공간에 관한 상징기호 읽기
표 5-15. 미학적 기능으로 예술기호 읽기
표 6-1. 서양 무용기록 발달사
표 6-2. 20세기 이전의 한국 무용기록
표 6-3. 20세기 이후의 한국 무용기록
표 6-4. 춤의 지역성과 관련된 언어문화학적 연구범주
표 6-5. 무용 부문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표 6-6. 디지털을 활용한 무용학 연구
그림 차례
그림 2-1. 소쉬르의 기호체계
그림 2-2. 퍼스의 삼원 모형
그림 2-3.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
그림 2-4. 기호학적 사변형 모형
그림 2-5. 바르트의 신화 모형
그림 2-6.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그림 2-7. 야콥슨 커뮤니케이션 모형의 기능적 역할
그림 2-8. 삼원 모형을 적용한 체용상의 체계
그림 2-9. 무용의 기호학적 지평에 관한 연구 영역
그림 3-1. 무용기호의 신호와 상징의 두 범주에 대한 이해
그림 3-2. 기표와 기의의 의미작용
그림 3-3. 고리체의 신화 모형
그림 3-4. 처용무의 행위소 모형
그림 3-5. 살풀이춤의 기호학적 사변형
그림 3-6. 기호요소듣ㄹ의 의미해석적 기호현상
그림 3-7. 무용언어의 기호의미론과 해석학적 요소
그림 3-8. 바르트의 기호작용
그림 3-9. 무용현상에서 신화적 이미지의 형성
그림 3-10. 무용의 기호론적 요소와 영역
그림 3-11. 무용 언어의 소통 모형
그림 3-12. 문화기호학적 텍스트로서 무용기호 읽기
그림 4-1. 탈커뮤니케이션 단계로서 무용의 소통 모형
그림 4-2. 광의의 무용 커뮤니케이션
그림 4-3. 무용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그림 5-1. 춤 텍스트를 읽어 내는 방법과 절차
그림 5-2. 퍼스 기호학의 무용기호학적 적용방법론
그림 5-3. 퍼스의 이론을 적용한 한국 춤의 삼원 모형
그림 5-4. 퍼스의 삼원 모형으로 본 춤길의 해석
그림 5-5. 그레마스 기호학의 무용 분석적 적용 과정
그림 5-6. 민속품의 소통적 위치
그림 5-7. 살풀이춤의 행위소 모형
그림 5-8. 살풀이춤의 기호학적 사변형Ⅰ
그림 5-9. 살풀이춤의 기호학적 사변형Ⅱ
그림 5-10. 살풀이춤에서 정, 한, 신명의 유기적 구조
그림 5-11. 춤에 관한 신화 모형
그림 5-12. 바람막이 사위의 분석
그림 5-13. 태극무늬 사위의 분석
그림 5-14. 가위질 사위의 분석
그림 5-15. 회오리바람 사위의 분석
그림 5-16. 꽃봉오리 사위의 분석
그림 5-17. 다듬이질 사위의 분석
그림 5-18. 쳐올리기 사위의 분석
그림 5-19. 상모놀음 사위의 분석
그림 5-20. 광의의 무용 커뮤니케이션
그림 5-21. 체용상 체계를 통한 한국 춤의 삼원 모형
그림 5-22. 살풀이춤의 체용상 삼원구조
그림 5-23. 춤의 미학적 기능에 대한 기호학적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