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식민지 후반기의 극장 공연작품에 대해 살펴본 연구서다.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들이 하나의 기획된 근대적 구성물이라는 관점을 내포하고 1930~40년대의 공연작품을 살펴본다.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식민지 극장의 작품에 나타난 문화사적 맥락과 미시정치학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췄으며, 식민지 극장에서 연기된 동양주의와 식민지 극장에서 연기된 젠더, 아동, 국민 담론에 대해 다뤘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머리에

1부 근대극과 제국/식민, 그리고 동양
한 식민지 국문학자가 마주친 '동양 연구'의 길 - 김재철론
1. 국문학 개척자로서의 김재철
2. 김재철과 경성제국대학-‘동양 연구’ 라는 오리엔탈리즘의 안과 밖
3. 문헌고증학적 실증주의와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4. 진보적 무산자계급의 연극을 향하여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1. 동양담론으로서의 역사극
2. ‘조선적인 것’ 으로서의 멸망사 이야기
3. ‘조선적인 것’ 의 허구성과 내적 분열
4. 민족담론과 식민담론의 공존, 분열
심상지리로서의 대동아(大東亞)
1. 대동아라는 상상의 지리
2. 반서양주의의 극적 상상력
3. 인종과 여성, ‘슬픈 동양’의 이미지
4. ‘동양인’, 국민(國民)이 된다는 것
식민지 극장의 전시된 만주 표상들
1. 머리말
2. ‘동양의 엘도라도’. 표상 공간으로서의 만주
3. 웨스턴 장르로서의 만주 활극들
4. 정체성 퍼포먼스와 젠더정치의 허구성
5. 맺음말
극작가들, 동양(東洋)을 향해 가다
1. 머리말
2. 서양의 박람회에 갇힌‘동양’-두 개의 박람회와 동양연극
3. 1940년대-식민지 연극과 동양주의
4. 1970년대-‘동양연극’ 열풍과 서구적 시선
5. ‘동양적’ 연극을 넘어 ‘한국적’ 연극으로

2부 근대극과 젠더, 아동, 국민
근대계몽기의 연극개량론과 서사문학에 나타난 국민국가 인식
1. 머리말
2. 연극개량론-일본과 한국
3. 연극개량론과 서사문학의 관계-국민국가 담론이라는 용광로
4. 맺음말
입센주의와 여성, 그리고 한국 근대극
1. 머리말
2. 입센과 여성
3. 입센주의의 한국 수용
4. 1930년대 창작극과 입센주의
5. 결론을 대신하여
함세덕과 아이들 - 가족 로망스, 혹은 청년의 탄생
1. 머리말
2. 발견된 순진무구(純眞無垢)로서의 소년 이미지
3. 가족 로망스-아버지와 아들의 갈등
4. 새로운 청년의 탄생
5. 맺음말
북한 희곡에 나타난 이상적 여성국민 창출의 양상
1. 문제제기
2. 1940~50년대 사상-생산 전사로서의 여성국민 창출
3. 1960년대 이후 모성적 여성국민 이미지의 강조
3. 결론을 대신하여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국전승연희학 개론 한국전승연희학 개론 2004 / 서연호 지음;윤주영 사진. / 연극과인간
한국 연극 전사 한국 연극 전사 2006 / 서연호 저 / 연극과인간
한국전통연희론 한국전통연희론 2007 / 심상교 저 / 집문당
한국근대연극사 한국근대연극사 1996 / 유민영 저 / 단국대학교
韓國近代演劇史 韓國近代演劇史 1999 / 유민영 저 / 단국대 출판부
한국연극운동사 한국연극운동사 2001 / 유민영 저 / 태학사
한국 연극의 사적 성찰과 지향 한국 연극의 사적 성찰과 지향 2010 / 지은이: 유민영 / 푸른사상사
식민지 극장의 연기된 모더니티  = (The) performed modernity in colonical Korean theaters 식민지 극장의 연기된 모더니티 = (The) performed modernity in colonical Korean theaters 2010 / 이상우 [지음] / 소명출판
한국연극의 문화 형성력 : 전통에서 실험으로, 실험에서 전통으로 한국연극의 문화 형성력 : 전통에서 실험으로, 실험에서 전통으로 2000 / 이상일 저 / 눈빛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 부두연극단의 공연사와 공연미학 2014 / 저자: 김남석 / 연극과인간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 속의 극.영화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 속의 극.영화 1998 / 최동현 ; 김만수 공저 / 태학사
한국연극 바로보기 한국연극 바로보기 1999 / 최웅 ; 유태수 ; 이대범 공저 / 북스힐
韓劇의 原形을 찾아서  : 궁중의례  : 禮樂으로 다스린 나라의 지혜 韓劇의 原形을 찾아서 : 궁중의례 : 禮樂으로 다스린 나라의 지혜 2018 / 저자: 양혜숙, 윤광봉, 신현숙, 김종수, 조재모, 송지원, 백영자, 김종애, 김상보, 김태연 ; 엮음: 한국공연예술원 / 悅話堂
전통연행을 보는 또 하나의 시각 전통연행을 보는 또 하나의 시각 2022 / 지음: 허용호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전통극 : 우리들의 잃어버린 신명 전통극 : 우리들의 잃어버린 신명 1999 / 허은 지음 / 교보문고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뿌리 이야기 뿌리 이야기 2015 / 김숨 외 지음 / 문학사상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짝재기 양말의)연극 이야기 (짝재기 양말의)연극 이야기 2014 / 박영욱 지음 / 멘토프레스
한국연극사 한국연극사 2004 / 서연호 지음 / 연극과인간
(연기교육자, 연출가)박탄고프 (연기교육자, 연출가)박탄고프 2009 / 박상하 지음 / 동인
한국 연극의 사적 성찰과 지향 한국 연극의 사적 성찰과 지향 2010 / 지은이: 유민영 / 푸른사상사
행복의 발명 행복의 발명 2012 / 유준상이 쓰고 그리다 / 열림원
서양 연극사 이야기 서양 연극사 이야기 2008 / 지음: 밀리 S. 배린저 ; 옮김: 우수진 / 평민사
내 생의 한 획, 백남준 : 어느 문화예술행정 전문가의 회상 내 생의 한 획, 백남준 : 어느 문화예술행정 전문가의 회상 2014 / 천호선 지음 / 눈빛
장민호  : 그래도 세상은 살 만하다  : 1924년~ 장민호 : 그래도 세상은 살 만하다 : 1924년~ 2011 / 구술: 장민호 ; 채록 연구: 이미원 / 수류산방
청춘은 찌글찌글한 축제다 : 성공의 무대를 만든 위대한 실패의 기록들 청춘은 찌글찌글한 축제다 : 성공의 무대를 만든 위대한 실패의 기록들 2014 / 인재진 지음 / 마음의숲
빈 공간 빈 공간 2019 / 지음: 피터 브룩 ; 옮김: 이민아 / 걷는책
나의 삶, 나의 바람 :  코미디언 유성 자서전 나의 삶, 나의 바람 : 코미디언 유성 자서전 2012 / 유성 ; 유혜목 지음 / 창조문예사
정오의 목욕 정오의 목욕 2017 / 지음: 장병욱 / 안나푸르나
(무용연극)탄츠테아터 (무용연극)탄츠테아터 2006 / 수잔네 슐리허 지음 ; 박균 옮김 / 범우사
연극의 본질 연극의 본질 1996 / 앙리 구이에 저 ; 박미리 역 / 집문당
아르또와 잔혹연극론 아르또와 잔혹연극론 2003 / 박형섭...[등]지음 / 연극과인간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1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