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한산 이씨 아계(鵝溪) 가문의 전통과 역사적 위상 / 이성무
1. 한산 이씨의 선계(先系)
2. 이곡(李穀)·이색(李穡) 대
(1) 이곡(1298~1351)
(2) 이색(1328~1396)
3. 이계전(李季甸)·이개(李塏) 대
(1) 이계전(1404~1459)
(2) 이개(?~1456)
4. 아계 이산해(李山海)의 생애와 행적
5. 아계 이산해의 자손들
6. 역사적 위상
이산해의 학문적 기반과 현실인식 / 신병주
1. 머리말
2. 이산해의 생애와 삶의 공간
3. 이산해의 학문적 기반
(1) 숙부이자 스승, 이지함
(2) 화담학파와 연계성
(3) 해안적인 기반과 자원의 활용
4. 임진왜란에 대한 인식
(1)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인식
(2) 주사(舟師) 강화론
5. 맺음말 - 학문과 사상의 의의
선조 대 정국과 이산해의 정치적 역할 / 설석규
1. 머리말
2. 학문연원과 정치철학
3. 정국동향과 정치적 역할
4. 맺음말
아계 이산해의 후대 추숭과 유적 / 이해준
1. 머리말
2. 《아계유고》발간
3. 아계 묘소(墓所), 신도비(神道碑)
(1) 아계 묘소와 연당(蓮塘)
(2) 아계 신도비
4. 아계 유물과 평해 유적
(1) 종가 소장 유품
(2) 유묵(遺墨)과 금석기문(金石記文)
(3) 아계의 평해 유적
5. 맺음말
한산 이씨 아계가(鵝溪家)의 혈연과 교유관계 / 문숙자
1. 머리말
2. 가족관계와 혼인
(1) 아계 선대(先代)의 가족관계
(2) 아계 전후 3개의 가족관계와 혼인
3. 혈연 및 혼인관계와 정치
4. 교유관계
(1) 학문적 교유관계
(2) 교유관계와 정치적 성향
5. 맺음말
아계 이산해의 경제사상과 그 역사적 의의 / 이헌창
1. 머리말
2. 이산해의 경제관
3. 이산해의 경제정책론
4. 이산해의 경제사상의 배경
(1) 사상적 배경
(2) 사회경제적 배경
5. 한산 이씨 가문의 경제사상과 아계
6. 북인 경제사상과 아계
7. 한산 이씨가와 유학·실학의 계보
고문서를 통해 본 아계-후곡 가문의 사회경제적 기반 / 김학수
1. 머리말
2. 16세기 한산 이씨의 지역적 기반
(1) 보령 이거와 분산(墳山)·향제(鄕第)의 확보
(2) 단양 별업의 조성
3. 17세기 예싼 정착과 경제·향제·별업의 다원적 경영
(1) 사환 기반으로서의 경제(京第) 유지
(2) 예산 정책과 세거기반 강화
(3) 단양 별업의 재경영
4. 맺음말
아계 이산해의 시 세계 / 심경호
1. 머리말
2. 아계의 문학활동
3. 평해 유배와 시 세계의 확립
4. 아계 시의 깊이와 높이
(1) 분운(分韻)을 이용한 삶의 반추
(2) 의고(擬古)와 영물(詠物)을 통한 우의(寓意)
(3) 불우한 심사를 직접 토로한 서정(抒情)의 방식
(4) 가족의 죽음을 애도하고 인간 삶의 공허함을 사색한 시
(5) 사건 보고와 현실 고발의 시를 통한 현실 참여
(6) 염정(艶情)과 원망(怨望)을 담은 궁사(宮詞)
(7) 영사(詠史)를 이용한 현실정치 비판
(8) 경물(景物)의 연작(連作)을 통한 탈속 취향의 추구
6. 맺음말
조선조 유배문학과 아계 문학의 지위 / 이종묵
1. 머리말
2. 이산해의 유배 체험과 문학 활동
3. 조선 전기 유배문학의 전통과 향토지
4. 맺음말
아계 이산해의 서풍(書風) / 이완우
1. 이산해의 글씨에 얽힌 일화
2. 비갈문(碑碣文)과 대자서(大字書)
3. 소자행초(小字行草)와 중자행초(中字行草)
4. 황기로 풍의 대자광초(大字狂草)
5. 조선 중기 서예사와 이산해
석루(石樓) 이경전(李慶全)의 생애와 외교활동 / 이영춘
1. 머리말
2. 이경전의 생애와 서문
(1) 생애
(2) 이경전의 문학
3. 이경전의 외교활동
(1) 인조반정 전후의 한중관계
(2) 책봉주정차로서 외교활동
4. 맺음말
이경전 문학의 특징과 문학사적 위상 / 박용만
1. 머리말
2. 문집의 간행과 일시(逸時)
(1) 《석루유고(石樓遺稿)》간행
(2) 미수록 작품의 특징
3. 석루 문학의 특징
(1) 천부적 자질과 창작 능력
(2) 관료적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
(3) 서정(抒情)의 발현과 당풍(唐風)
(4) 역사를 통한 감계(鑑戒)
4. 맺음말 - 석루 문학의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