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닥쳐라! 세계화>, <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 등에서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등의 담론을 현장과 일상, 개인의 삶 속에서 탐구해왔던 저자 엄기호가 이번에는 20대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들의 삶을 인문학적으로 성찰해본다. 20대가 보는 정치, 돈, 사랑, 가족, 우리 시대의 자화상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목차
들어가는글| 너흰 괜찮아
성장에 대한 강요
도덕적 비난이 된 성장
뒷문으로 성장하다
성장이 무엇인지 되물어야 한다
1부 어쨌거나 고군분투
대학1 | 우리를 위한 자리는 없다
서울에 가야 한다
대학 서열이라는 체제
대학2 | 우린 아직 인간이 아니다
청춘은 찬란, 했다, 옛날에는
잉여가 된 ‘지성인’
자유가 잉여를 자학케 하리니
인간이 되기는 쉽지 않겠다
2부 뒷문으로 성장하다
정치 혹은 민주주의 | 혁명에 냉소한다
신성불가침한 민주주의
세상을 왜 바꿔야 하나?
뭘 해도 내 삶은 달라지지 않는다
도덕이 된 민주주의가 문제다
교육| 학교라는 이름의 정글
상실, 성장을 위한 조건
학교는 폭력과 억압으로 작동한다
말하는 법조차 배우지 못했다
열린 교육에 갇혀 자라다
교실은 동등하지도, 평등하지도 않았다
폭력적이지 않은 교육이 가능한가
가족 | 멀쩡한 가족은 없다
철없는 자식이 되는 데도 자격이 필요하다
외로운 가족, 겉도는 가족
가족은 감정노동의 공동체
소통의 폭력을 넘어
사랑 | 이것은, 왜 또 사랑이 아니란 말인가
사랑, 가장 강렬한 성장의 드라마
사랑, 서사가 가능한가?
불안하지 않은 사랑이 있는가
사랑, 비싸다
사랑, 인프라가 필요하다
소비 | 팔리기 위해 나를 전시한다
전시, 필사적인 인정투쟁
다이어트, 몸이 최고의 아이템이다
자기관리와 자기감시 사이에서
돈 | 돈은 자유다
돈은 속임수다
삶을 옥죄는 학생 빈곤
돈이 자유라는 말의 의미
그리고 돈의 흐름 혹은 틈새
열정 | 잉여, 열정과 삽질 사이에서
삽질, 잉여들의 열정
열정이 무력화되다
열정을 착취하는 자본주의
조금 긴 결론 | 다시 교실에서
개념과 사유의 힘
집단지성, 그들의 삶 속에 이미 있다
교과서는 힘이 쎄다
도덕에 맞서다
다시 교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