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출인기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 즐거운 상상과 해학으로 가득한 한국 고소설 천 년의 세계
발행연도 - 2010 / 간호윤 지음 / 김영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9577
-
ISBN
9788934940371
-
형태
840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이야기에 웃고, 이야기에 울던 옛사람들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한국인들은 왜 이야기를 읽고 쓰는 것을 좋아했을까? 한국인의 삶과 사상에서부터 문화와 역사, 민중의 희로애락까지 담아낸 고소설의 모든 것을 소개한다. 고소설의 개념, 용어에서부터 작품론, 작가론까지 청소년도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우리 옛이야기로 가득한 책.
목차
독소문답
한 마당 고소설론
1. 고소설이란 무엇인가?
2. 고소설사 4대 사건
제1차《유양잡조》사건 “괴탄하고 불경스러운 책이옵니다”
제2차 〈설공찬전〉사건 “채수의 죄를 교수형으로 단죄하소서”
제3차《명기집략》사건 “효시하여 강가에 3일 동안 머리를 달아 두어라”
제4차 ‘소설 수입 금서령’ 사건 “소설은 국가의 근간을 해친다"
3. 중세 사회와 소설의 접변
고소설의 생성 공간
고소설의 배경지
고소설의 집필지
출판
필사본
판각본(방각본)
구활자본(딱지본)
고소설 관련 용어
강담사(講談師)
전기수(傳奇叟)
요전법(邀錢法)
담배 가게(烟肆)
책쾌·책비(冊婢)
책사(冊肆) 서사(書肆)
육전 소설(六錢小說)
녹책(錄冊)과 전책(傳冊)
여성(女性)
장서가(藏書家)
화승(畵僧)
고소설계의 중요 인물
소설 수입 금서령을 내린 정조
소설을 시로 배척한 이상황
소설을 세 가지 헷갈림이라 질타한 이덕무
소설을 시로 사랑한 왕족 이건
소설의 장적을 정리한 유만주
소설을 팔아 신선이 된 조선
제일의 책 장수 조신선
고소설을 최초로 정리한 비극적인 천재 김태준
고소설을 최초로 세계에 알린 벽안의 이방인들
소설을 통해 조선을 읽은 일인 통역관들
판소리계 소설을 정리한 신재효
두 마당 작가론
1. 고소설 4대 작가
김시습, 마음은 선비이나 부처의 길을 가다
김만중, 어머니의 정과 국문을 사랑하다
박지원, 옛것을 바탕으로 새것을 창조하다
김소행, 비통한 슬픔과 울분으로 소설을 쓰다
세 마당 작품론
1. 고소설사의 흐름
2. 별쭝난 고소설
최초의 금서(禁書)《금오신화》
필화를 부른 〈설공찬전〉
최초의 민중 소설 〈임진록〉
바보가 등장하는 〈온달전〉
패러디 소설 〈상사동기〉
자본주의 소설 〈왕경룡전〉
최초의 조선어 교본 소설 〈숙향전〉
최초의 피란 소설 〈최척전〉
악인형 주인공이 등장하는 〈강로전〉
소설을 비평한 〈투색지연의〉
최고의 혹평을 들은 〈홍길동전〉
최고의 품격 소설 〈구운몽〉
최고의 로맨스 소설 〈춘향전〉
최고의 군담 소설 겸 베스트셀러 〈조웅전〉
단편 소설집《방경각외전》
에로틱 소설 〈주장군전〉과 〈관부인전〉
등장인물이 가장 적은 〈예덕선생전〉
중국에 수출한 최초의 소설 〈삼한습유〉
대하 장편 소설 〈명주보월빙〉
여성 귀신이 등장하는 〈강도몽유록〉
행복한 소설 〈백복전〉
설화를 모티프로 한 〈최현전〉
3. 이본으로 본 국문 소설 베스트 10
〈조웅전〉
〈유충렬전〉
〈춘향전〉
〈심청전〉
〈적벽가〉
〈삼국지연의〉
〈소대성전〉
〈박씨전〉
〈서한연의〉
〈임진록〉
4. 이본으로 본 국문 소설 베스트 10
〈구운몽〉
〈창선감의록〉
〈사씨남정기〉
〈임장군전〉
〈옥린몽〉
〈홍백화전〉
〈운영전〉
〈최치원전〉
〈원생몽유록〉
〈화사〉
5. 판소리계 소설
네 마당 배경론
1. 〈흥부전(興夫傳)〉인가 〈흥부전(興富傳)〉인가?
2. 최초의 국문 소설은 〈설공찬전〉인가 〈홍길동전〉인가?
3. 고소설 속 최고의 추녀와 추남은?
4. 고소설 속 불한당들은?
심술꾼
불효자
오입
왈패(曰牌)
잡놈들
출패(出牌)
편쌈꾼
화랑
5. 고소설에서 악인과 선인의 결말은?
6. 고소설 속 신분 계층과 직업은?
신분
직업
7. 고소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꿈은?
8. 고소설에 나오는 신약이나 신령스러운 기물들은?
9. 고소설에 쓰이는 모티프는?
10. 고소설에 나오는 전법이나 도술은?
전법
도술
11. 〈홍길동전〉은 정말 허균이 지었나?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다섯 마당 문화론
1. 속담이 된 고소설
〈삼국지연의〉
〈소대성전〉
〈수호지〉
〈숙향전〉
〈심청전〉
〈온달전〉
〈임진록〉
〈장인걸전〉
《전등신화》
〈조웅전〉과 〈이대봉전〉
〈춘향전〉
〈홍길동전〉
〈흥부전〉
2. 그림이 된 고소설
〈구운몽〉
〈삼국지연의〉
〈춘향전〉
〈토끼전〉
〈심청전〉
〈서유기〉
3. 소설이 된 고소설
4. 시조가 된 고소설
5. 한시가 된 고소설
6. 노래가 된 고소설
7. 놀이가 된 고소설
8. 설화가 된 고소설
9. 창가가 된 고소설
10. 가사가 된 고소설
11. 굿·탈춤이 된 고소설
맺음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1 |
30대 | 2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1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