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당대의 혹은 전대의 유명한 문학작품을 바탕으로 이야기(서사)를 다룬 그림, ‘이야기 그림’에 대한 책으로, 이 책에서 다루는 동양화는 당대의 혹은 전대의 유명한 문학작품을 바탕으로 삼는다. 저자는 동양화의 형식 자체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눈높이를 화가의 시점에 따르도록 권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해시키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이야기 그림을 읽다
제1장 펼쳐가며 읽는 그림, 권
아름다운 출발 : 전 고개지(顧愷之), 〈낙신부도〉(洛神賦圖
꿈이었을까, 적벽의 하루도, 그날의 이야기들도 : 교중상(喬仲常), 〈후적벽부도〉後赤壁賦圖
제2장 걸어놓고 음미하는 그림, 축
순간적인 것의 아름다움, 혹은 그 아쉬움에 대하여 : 구영(仇英), 〈춘야연도리원도〉春夜宴桃李園圖
도원에 이르는 세 갈래 길 : 장대천(張大千), 〈도원도〉桃源圖
제3장 둘러두고 감상하는 그림, 병풍
이야기를 빌려 산수를 그리다 : 정선(鄭敾), 〈귀거래도〉歸去來圖 8폭병
별들, 서원에 모이다 : 김홍도(金弘道),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6폭병
제4장 읽으면서 쉬어가는 그림, 삽화
이야기와 그림, 그리고 시장의 만남 : 진홍수(陳洪綬), 『장심지정북서상비본』張深之正北西廂秘本 삽화
새로운 텍스트는 새롭게 읽어야 한다 : 구사(裘沙)·왕위군(王偉君), 『노신 논문·잡문 160도』魯迅論文ㆍ雜文160圖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