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초 만에 재무제표 읽는 법. [2] : 실전편
발행연도 - 2010 / 고미야 가즈요시 지음 ; 김정환 옮김 / 다산북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2096
-
ISBN
9788963702773
-
형태
207 p. 21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경제학
>
경영
-
카테고리분류
경제/경영
>
경영
>
세무/재무/회계
책소개
재무제표를 보는 법을 ABC부터 알려주고,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몇 개 유명회사의 재무제표를 읽어주는 ‘실전편’. 실전편은 대차대조표 기초와 응용, 손익계산서 기초와 응용, 그리고 현금흐름계산서의 순서로 되어 있다.
목차
머리말
Part1 대차대조표로 안전성을 분석한다 [기초]
회사의 실력은 '안정성→수익성→성장성'의 순서로 살핀다
대차대조표에는 '운용'과 '조달'이 나타나 있다
부채와 순자산의 차이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중장기적 안정성을 볼 때 - '자기자본비율'
'1초'만 재무제표를 볼 수 있다면 '유동비율'을 본다
단기적 안정성을 보는 '당좌비율'도 중요하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단기 지표는 단기유동성
지표의 우선순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2009년 3월기 결산으로 보는 안전성 지표의 동향
자기자본이나 유보이익이 충분해도 기업은 도산한다
정부는 '매장금(埋藏金)'만 믿어서는 안 된다
자회사와 소수주주지분
관련회사는 '지분법'에 따라 손익을 계상한다
Part2 대차대조표로 안전성을 분석한다 [응용]
'유동비율'을 볼 때에는 일반론에만 얽매여서는 안 된다
자기자본비율의 안정성도 업종에 따라 크게 다르다
경영자는 자기 나름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규제도 알아 두자
기업의 단기유동성과 은행의 단기유동성
비율이 좋아도 금방 망하는 업종이 있다? - 자산회전율
대차대조표에서 속는 포인트(1) - 외상판매대금
대차대조표에서 속는 포인트(2) - 재고자산
대차대조표에서 속는 포인트(3) - 장기차입금
'시가회계' 동결의 시비
부채를 시가평가하면 '이익'이 생긴다?
시가회계와 감손회계
Part3 손익계산서로 수익성을 분석한다 [기초]
손익계산서는 매출액에서 각종 경비를 빼는 구조
첫 번째 포인트는 매출액과 이익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느냐
매출액과 현금흐름은 다르다
매출원가에서 확인할 점
매출원가는 제조원가와 다르다
매출액을 볼 때는 재고증감을 반드시 확인한다
이익에 현혹되지 마라
제조업의 합법적인 '분식회계' 방법
왜 매출액이 중요한가?
매출총이익과 부가가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기업별 구가가치의 합계가 GDP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증가하지 않았는가?
영업이익, 영업외손익
지분법 손익이 있으면 관련회사가 있다는 뜻이다
특별이익, 특별손실, 당기순이익
'이익'이란 무엇인가?
증수·증익에도 함정이 있다
Part4 손익계산서로 수익성을 분석한다 [응용]
1 전체와 부분을 나누어 분석한다
손익계산서를 분석한다
'매출액-비용=이익'이 아니라 '매출액-이익=비용'이라는 생각
세그먼트 정보를 보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지가 보인다
전체, 평균치는 전략의 오판을 부른다
2 동업 타사를 동시에 분석한다
같은 업종의 두 회사를 비교하면 보이는 것
특별이익, 특별손실의 내용에도 주목하자
자산 내용과 현금흐름에도 주목하자
숫자로 기업의 전략을 읽는다
3 세그먼트 정보를 자세히 분석한다
<세븐&아이>의 세그먼트 정보에서는 무엇이 보이는가?
<이온>의 세그먼트 정보에서는 무엇이 보이는가?
손익계산서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해석한다
4 실적 예상과 실제 결과를 비교한다
제조업의 대폭적인 감산에 따른 수익하락
예상과 실제 비교
제조업은 매출액이 대폭 하락하면 원가율은 상승한다
실적 예측을 검증한다
감가상각비의 동향에 주목한다
긴급분석 <도요타 자동차>와 의 재무제표에서는 무엇이 보이는가?
경기 후퇴로 신음하는 자동차 업계
자동차의 원가율 상승을 커버하지 못하다
고정비 증가가 경영을 압박하다
2008년도 하반기에는 실적이 더욱 하락했다
<도요타 자동차>의 손익분기점을 분석한다
과도한 시설 투자가 화를 불렀다
매출액은 떨어졌으나 매출원가율은 크게 악화
신차 판매대수의 동향에서 보이는 것
파산한 의 손익계산서를 분석한다
미국 정부는 과감한 시책을 단행해야 한다
Part5 현금흐름계산서로 자금력을 분석한다
1 현금흐름계산서의 구성
현금흐름계산서를 통해 기업의 실력을 본다
현금흐름 마진을 통해 영업현금흐름의 적정 수준을 안다
재무현금흐름으로 자금의 과부족을 조정한다
현금흐름에 나타나는 실적 부진의 영향
2 ‘버는 것’과 ‘쓰는 것’ 그리고 자유현금흐름
<닛산 자동차>와 <도요타 자동차>의 '버는 것'과 '쓰는 것'
'자유현금흐름'은 기업의 진정한 실력
'자유현금흐름'의 두 가지 정의
3 이익이 나도 현금이 돌지 않으면 도산한다
'영업현금흐름'을 보면 이익과 현금흐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기업이 벌어들일 수 있는 현금흐름의 실력차
4 회사의 가격을 생각한다
현금흐름할인법
EBITDA 배율
회사의 가치를 높이려면?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1 |
60대 | 0 |
70대 | 0 |
80대 | 1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2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