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 세계인이 이렇게 묻는다면, 당신은 어떻게 답할 것인가?
발행연도 - 2010 / 최준식 ; 윤지원 ; 이춘자 ; 허채옥 ; 이강민 ; 김윤정 ; 송혜나 ; 최준 ; 양세욱 함께 씀 / 소나무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38051
-
ISBN
9788971395677
-
형태
507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풍속, 예절, 민속학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문화/문화사
>
한국문화
책소개
복식, 음식, 건축, 자기, 음악, 민족(민속), 언어, 종교 여덟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 분야 전문가들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한국과 중국이라는 두 문화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의 원조를 가려내 국가적 자만심을 높이자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문화의 다양성과 미래지향적인 실용성을 제고하자는 것이다.
목차
서문 / 최준식
1부 복식/음식/건축
중국과 사뭇 다른 한국 복식 / 윤지원
1. 우리 옷은 어디서 왔나
2. 한국 복식과 중국 복식
3. 한국 복식의 국속화ㆍ한국화
4. 현대 한복 시장의 현황과 디자인 제안
5. 우리 옷의 정체성
닮은 듯 닮지 않은 한국과 중국의 음식 문화 / 이춘자, 허채옥
1. 밥상과 식탁
2. 한국의 음식 문화가 완성되기까지
3. 한ㆍ중 음식 문화의 구체적 비교
4. 음식과 문화적 정체성
중국 건축의 규범과 한국 건축의 적응 / 이강민
1. 문명의 척도로서의 건축
2. 중국 건축의 규범적 구성
3. 한국 건축에서 규범의 수용과 적응
4. 조선 시대의 중국 건축 인식
5. 현대 건축의 규범과 한옥
2부 자기/음악
시대를 담은 한ㆍ중 자기 문화 / 김윤정
1. 도기와 자기
2. ‘자기 문화’의 시작
3. 고려 시대의 ‘청자 문화’
4. 조선 시대의 ‘백자 문화’
5. 한국 ‘자기문화’의 특징
6. 중국의 영향과 한국의 발전
한국 음악과 중국 음악, 그 오래된 관계와 오늘 / 송혜나
1. 한국 전통 음악의 형성과 중국 음악
2. 중국 음악의 흐름
3. 중국 음악의 한국 수용
4. 중국 음악의 한국적 변용
5. 음악과 문화 정체성
3부 민족ㆍ민속/언어/종교
한ㆍ중의 문화적 아이덴티티와 민속 의례 / 최준
1. 전통 문화의 경계
2. 한국과 중국의 민족 개념
3. 한국과 중국의 민속 의례
4. 문화 정체성과 현대사회
한국어와 중국어, 두 천년의 만남 / 양세욱
1. 중국어의 풍경
2.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 접촉
3. 한문과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
4. 고유어를 압도하는 중국어계 한자어
5. 한자와 한글 단상
6. 언어차용과 문화적 다양성
한국의 종교는 중국의 유불선이 아니다! / 최준식
1. 유ㆍ불ㆍ선의 실체
2. 중국 종교 발달 약사
3. 한국 종교 발달 약사
4. 한국인의 종교 정체성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