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부 그렇고 그런 일이 벌어지다(1권에서 계속)
46. 이상과 도덕은 영혼이라 불리는 거대한 구멍을 채우기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이다
47. 모든 쪼개진 것들은 아른하임이라는 한 인간 속에 들어있다
48. 아른하임이 명성을 얻은 세가지 이유와 전체성의 비밀
49. 구외교와 신외교 사이의 대립이 시작되다
50. 사태의 진전. 투치 국장은 아른하임을 더 알아가기로 결심했다
51. 피셀의 집
52. 투치 국장은 자기의 부서업무에서 한가지 결점을 찾아낸다
53. 모오스부르거가 다른 감옥으로 이송되다
54. 울리히는 대화에서 발터, 클라리세에게 반발했다
55. 졸리만과 아른하임
56. 평행운동 위원회에서의 활발한 활동. 클라리세가 경애하는 백작 각하에게 편지를 보내 '니체의 해'를 제안한다
57. 거대한 도약. 디오티마는 위대한 사상들에 관해 이상한 체험을 한다
58. 평행운동이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다. 그러나 인류역사에서 자발적으로 후퇴하는 경우는 없다
59. 모오스부르거는 깊이 생각한다
60. 논리적이고 윤리적인 영토로 떠나는 소풍
61. 세가지 논문의 이상 또는 정확한 삶의 유토피아
62. 지구는 물론이지만, 특히 울리히가 에세이즘의 유토피아에 경의를 표한다
63. 보나데아가 비전을 품는다
64. 슈툼 장군이 디오티마를 방문하다
65. 아른하임과 디오티마의 대화에서
66. 울리히와 아른하임 사이에서 몇가지 문제가 생기다
67. 디오티마와 울리히
68. 하나의 여담: 인간은 육체와 일치해야만 하는가?
69. 다오티마와 울리히, 이어서
70. 클라리세가 이야기를 나누러 울리히를 방문하다
71. 위원회가 황제의 70주년 기념행사와 관련한 주요 안건을 논의하기 위해 첫번째 회의를 열었다
72. 수염 속에서 미소짓는 과학, 또는 악과의 정식 첫 만남
73. 레오 피셀의 딸 게르다
74. 기원전 4세기 vs 1797년. 울리히가 아버지에게서 또 한통의 편지를 받는다
75. 슈툼 폰 보르트베어는 디오티마에게서 찾아간 것을 그의 직무에서 하나의 기쁜 전환이라고 생각했다
76. 라인스도르프 백작이 의심을 품다
77. 언론의 친구 아른하임
78. 디오티마의 변신
79. 졸리만이 사랑에 빠지다
80. 갑자기 위원회에 들이닥친 슈툼 장군을 알게 되다
81. 라인스도르프 백작이 현실정치를 표방하다. 울리히는 협회를 조성하다
82. 클라리세가 울리히의 해를 요청하다
83. 그렇고 그런 일이 벌어지다. 또는 왜 우리는 역사를 고안하지 못하는가?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