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에 부쳐
머리말
제1장 《장자》는 어떤 책일까?
도가 철학을 창시한 노자
제2장 장자는 어떤 사람일까?
그림으로 읽는 도가 사상
제3장 도(道)와 무용(無用)과 소요(逍遙)
온갖 사상이 나타난 춘추전국 시대
제4장 《장자》 해설 1 _ 내편(內篇)
모든 사물을 평등하게 바라보라_제물론(祭物論)
통달한 마음으로 신명을 보존하라_양생주(養生主)
욕심을 버리고 세상에 떨어져라_인간세(人間世)
덕을 길러 형체를 초월하라_덕충부(德充符)
생사를 잊고 도와 하나가 되어라_대종사(大宗師)
천하는 소박함으로 다스려야 한다_응제왕(應帝王)
중국의 역사는 세 시기로 나뉜다
제5장 《장자》 해설 2 _ 외편(外篇)
인의(仁義)는 여섯 번째 손가락_변무(駢拇)ㆍ마제(馬蹄)ㆍ거협(胠篋)ㆍ재유(在宥)
태초에 무(無)가 있었다_천지(天地)
책은 옛 성현이 남긴 찌꺼기_천도(天道)
자취 없는 본래의 마음으로_천운(天運)
순수하고 천연스런 물처럼_각의(刻意)ㆍ선성(繕性)
개구리여, 저 큰 바다를 보라_추수(秋水)
죽음이 반드시 나쁘기만 한 것일까?_지락(至樂)
마음을 모아 영묘함을 얻으라_달생(達生)
욕심을 버려 주인 없는 빈 배가 돼라_산목(山木)
무심(無心)과 천진(天眞)에서 노닐라_전자방(田子方)
말과 지혜가 끊긴 곳에서 도가 시작된다_지북유(知北遊)
노자 장자를 잇는 열자
제6장 《장자》 해설 3 _ 잡편(雜篇)
시비선악을 분별하지 마라_경상초(庚桑楚)
도, 쓰이지 않는 그 쓰임에 안주하라_서무귀(徐無鬼)
달팽이 뿔 위의 나라에 비유하여_칙양(則陽)
작은 수단에 매여 큰 성명(性命)을 상하지 마라_외물(外物)
부귀를 취하려다 몸을 상하면 무슨 이익이 있으리_우언(寓言)ㆍ양왕(讓王)
헛되이 명리(名利)를 구하지 마라_도척(盜)
왕이라면 왕다운 칼을 쓰라_설검(設劍)
감출 줄 모르는 덕이 도리어 사람을 해친다_어부(漁父)ㆍ열어구(列御寇)
천하의 여러 학파를 비판함_천하(天下)
장자를 이어간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