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역사에서 근대가 시작되던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민중의 역사'를 조명한 책이다. 이 책은 러시아 역사를 '아래서부터의 역사' 즉, '민중의 관점'에서 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 ‘거룩한 러시아’란 무엇인가: 구교도의 영적 세계 1. 러시아인의 정신세계 2. 러시아 신앙과 수도원 전통 3. 러시아 교회 내분의 시작 4. 구교도의 영적 세계 5. 구교도의 사회 공동체 6. 문화적 함의
2장 - 17세기 스텐카 라진과 농민반란 1. 러시아의 농민반란들 2. 농민 반란의 원인 3. 스텐카 라진의 등장과 반란 4. 스텐카 라진 반란의 재현 - 푸카쵸프의 난 5. 최후들
3장 - 러시아 청년·대학생의 정치적 행동주의 시작 1855~1863 1. ‘인텔리겐찌야’의 전통 2. 러시아 대학의 외적 변화 3. 최초의 정치적 행동주의 4. 인민의 이미지 5. 우파와 좌파의 탄생
4장 - ‘인민주의 운동’(v narod)이란 무엇인가? 1. 인민이란 무엇인가? 2. 인민주의 사상의 발생 3. 인민주의의 실천적 운동 4. 좌절과 그 이후
5장 - 러시아 노동자 계급의 급진주의(radicalism) 전통의 뿌리, 1870~1914 1. 역사와 노동자계급 2. 러시아 산업화의 특수성과 노동자 3. 최초의 행동주의적 노동자 저항 4. 급진적 인텔리겐찌야와 만남 5. 1905년 혁명과 합법적 노조주의 좌절
6장 - 러시아 최초 사적 상인·기업가의 등장 1. 러시아에도 사적 상인·기업가가 있었는가 2. 상업의 도시 모스크바의 성장 3. 모스크바 엘리트 상인·기업가들 4. 지식인과의 교유 5. 철도 건설과 민족 러시아 6. 노동 분규와 상인·기업가들의 딜레마 7. 예술후원 사업과 박애
7장 - 모로조프가의 직물기업의 성공의 신화, 1873~1905 1. 모로조프가의 이야기 2. 농노에서 상인으로 3. 찌모페이(Timothy Morozov, 1825~1889)의 팽창 4. 마지막 후계자 사바 2세(1863~1905)의 경영 자본주의 5. 최후의 이야기
8장 - 1905년 혁명 이후 최초 자유주의 의회제는 왜 실패했는가 1. ‘피의 일요일’과 1905년 혁명 2. 상인·기업가들의 지위에 대한 쟁점 3. 국가 두마의회와 정당들의 경쟁 4. ‘10월 동맹당’과 상인·기업가의 관계 5. ‘진보 블럭’의 상인·기업가의 ‘부르주아 정당’의 시도 6. 마지막 좌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