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키워드 한국문화' 10권. 그동안 고문서를 통해 조선 후기 사회 문제 및 민인의 소통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온 조선대학교 사학과 김경숙 교수가 '산송'을 통해 조선 후기 사람들이 왜 그렇게 치열하게 산송에 임했는지를 좇고, 이를 통해 친족질서의 변동, 사회경제적 변동, 신분질서의 동요, 향촌 사회 구조의 변화 등 조선 후기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읽어나간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1. 250년 동안 계속된 소송
윤관은 고려 재상, 심지원은 조선 재상
산송, 조선 후기의 대표 소송
2. 종법 사회, 종산의 형성
종법 사회, 실전묘를 찾아서
처·외가, 종산의 출발
내외손, 이웃하는 종산
3. 사대부에게 분묘의 의미는?
『경국대전』과 차등보수
『주자가례』와 택산
용호수호, 국법을 바꾸다
길지 열망, 투장으로 표출되다
4. 소송장 풍경
투장의 여러 형태들
투장자와 금장자의 대결
체송, 그 끝없는 갈등의 끝은 어디인가
상언·격쟁, 국왕에게 호소하다
사굴, 차라리 유배를 택하다
삼굴삼장(三掘三葬), 분산수호 작전
5. 송추 투작과 송송(松訟)
산림 이용과 양산 금양권
송송, 송추를 지켜라
나무꾼과 땔나무
6. 분산 수호와 공동체 원리
족계 결성과 공동 수호
촌락 공동체와 협력 체제
산송, 그 역사적 의미
주
참고문헌
키워드 속 키워드
1 종법
2 『주자가례』
3 풍수와 명당
4 상언·격쟁
5 소송 절차
6 금송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