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 : 시민과 지식인에게 길을 묻다
발행연도 - 2017 / 경향신문 창간 70주년 특별취재팀 지음 / 책세상
-
도서관
인천시청 행정자료실도서관
-
자료실
[인천시청행정자료실]일반자료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IM0000018977
-
ISBN
9791159310980
-
형태
343 p. 21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책소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 이 질문마저 사치스럽게 들리는 지금,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할 때다. 선취했다고 믿었던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가, 민주공화국의 핵심 가치인 법치와 공적 질서가 붕괴된 지금이야말로 민주공화국에 대한 물음이 필요하다.
목차
서문 | 공화국의 참뜻에 대한 성찰을 위하여 / 김상봉
길에서 민주공화국을 묻다 / 김종목·박광연·이유진·최민지·허진무 기자
돈이 지배하는 갑·을의 사회, 중세 신분제와 뭐가 다른가 / 황경상·최민지·허진무·박광연·이유진 기자
“선출된 왕정을 최소한 원로원 체제로 가져가야” / 김상봉[전남대 철학과 교수]
“부자·재벌·시장·기업·보수만을 대변하는 나라, 공화국이라고 할 수 없어” / 박명림[연세대 지역학 협동과정 교수]
여자라서 안 되고, 덜 받고…남녀, 같은 국민 맞습니까 / 이주영·김형규·심진용·이유진·허진무 기자
“민주공화국은 뻔뻔한 사람이 없는 사회” / 정희진[여성학자]
무능한 정치, 비겁한 판결… 법 위에 군림하는 ‘피고 대한민국’ / 장은교 기자
권력이 그 주인을 억압할 때, 국민은 ‘헌법 제1조’ 떠올렸다 / 황경상·최민지·허진무·박광연·이유진 기자
“우리의 삶을 우리가 결정해야 민주공화국” / 하승수[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공화국 시민이라면 빈부 격차를 부끄럽게 느껴야” / 최갑수[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붕괴된 공동체, ‘각자도생’의 시대 / 이주영·장은교·김형규·박광연·최민지 기자
지배할 뿐 책임지지 않는 권력, 여기 시민의 자리는 없다 / 심진용·장은교·김형규 기자
“최순실 게이트는 대한민국이 사적 소유물이라는 점을 오롯이 드러낸다” / 홍세화[장발장은행장]
“국정화는 한 해 먼저 터진 국정 농단 사건” / 김육훈[역사교육연구소장]
“공화국은 사유물이 아니다” / 김종철[녹색평론 발행인]
시민이 개헌 주도한 아이슬란드… 이런 게 ‘주권자 권리’ / 김형규 기자
대한민국 하면? “야근이 떠올라요” / 장은교 기자
“경제 민주화 조항을 다시 쓰자” / 김상조[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우리가 말하는 ‘공화국’은 젠더 중립적이지 않아” / 권명아[동아대 국문과 교수]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