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의 희망 찾기’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 전국 방방곡곡 현장에서 일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자 수첩을 들고 노트북과 카메라를 둘러메고 길을 나선 저자는 개발 열풍으로 파괴되고 소외된 지역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을 만났다. 그 중 교육 사례만을 모은 것으로 함께 돌보고 배우는 교육공동체로서 마을을 건강하게 지속시킬 수 있는 실천 가능성을 선사한다.
목차
프롤로그 아니, 우리 교육에 희망이 없다고요?
1부 공교육의 대안, 학교 밖 학교
50년 전통의 원조 대안학교_풀무학교
별처럼 빛나는 아이들의 대안학교_성장학교 ‘별’
도심 속 ‘마을학교’_성미산학교
학교가 할 일을 “제대로” 한 것뿐_이우학교
“재미”와 “창의” 두바퀴로 가는 자전거_하자센터
아이들의 힘으로 만들어 가는 나라_아힘나평화학교
2부 공교육이 달라졌다. 작은 학교 이야기
숲을 걷고 꽃을 만지는 수업_남한산초등학교
아이들, 선생님. 학부모 모두 신 나는 학교_거산초등학교
이 학교가 자랑스럽다_삼우초등학교
마을에서 배움을 찾다_세월초등학교
학부모, 팔을 걷고 나서다_송산분교
이런 “악독한” 교장이 늘어야 한다_조현초등학교
3부 따로 또 같이, 학교 밖 아동 청소년 교육공동체
청소년들의 오아시스_‘품’ 청소년문화공동체
공부하지 마, 놀아!_‘청춘’ 청소년교육문화공동체
산촌유학 1호_고산산촌유학센터
은평구 대조동 엄마들의 마을 혁명_꿈나무어린이도서관
책은 누구에게나 평등합니다_난곡주민도서관 ‘새숲’
삶이 된 공부방_기차길옆작은학교
4부 새로운 교육 모델을 찾다
교육 문제를 해결할 바람을 일으키자_사교육걱정없는세상
진정 세상을 바꾸려면 평생교육에 나서라_성공회대학교 고병헌 교수
학습과 삶이 일치하는 코뮨_코뮤넷 수유너머
대안대학을 고민하다_풀뿌리사회지기학교
몰랑몰랑한 참교육을 향하여_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학교를 넘어서_공간 민들레
교육 희망 찾기에 도움 주신 분들
서가브라우징
랑이야, 제주에서 학교 가자 : 한 학급 10명, 전교생 88명 초등학교에서 아이 교육의 길을 찾다2014 / 김선혜 지음 / 대숲바람
왜 공부하는가 : 인생에서 가장 뜨겁게 물어야 할 질문2013 / 김진애 지음 / 다산북스
[신착] 학교 외부자들 : 학교 내부자들은 시작에 불과했다 2024 / 지음: 박순걸 / 교육과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