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Chapter 01 화재이론
01 불과 화재
02 화재의 분류
03 기초 화학과 물리
04 연소론
05 열전달 방식
Chapter 02 물질의 연소 특성
Chapter 01 고체 가연물
Chapter 02 액체 가연물
Chapter 03 기체 가연물
Chapter 03 불꽃 및 연기의 생성
01 불꽃의 생성 및 확대
02 화염의 높이
03 화염과 벽의 상호작용
04 화염의 확산
05 불꽃의 연소과정
06 촛불의 층류화염과 난류화염
07 화염의 전파
08 연기의 생성과 이동
Chapter 04 구획실 화재
01 구획실 화재의 이해
02 화재의 성장 단계
03 구획실 화재에 변화를 일으키는 변수들
Chapter 05 화재조사의 순차적 체계
01 과학적 방법의 사용
02 감식과 감정
03 정보 수집과 기록
04 발굴 및 복원
05 실전에 필요한 기술적 접근방법
Chapter 06 화재패턴
01 화재 언어를 읽어라
02 화재패턴의 종류
03 발화부를 암시하는 지표들
04 화재패턴 및 물성 변화에 따른 주의사항
05 정보의 평가
Chapter 07 발화요인별 화재원인
01 전기적 요인
02 기계적 요인
03 화학적 요인
04 작은 불씨에 의한 발화
05 자연적 요인
06 기타 발화요인
Chapter 08 방화조사
01 방화의 배경
02 방화의 일반적 특징
03 방화를 의심할 수 있는 물리적 증거들
04 방화를 암시하는 현장 정보들
05 방화의 조작 수단
06 방화조사 시 참고하여야 할 가변적 요소들
07 방화사례 조사
Chapter 09 폭발조사
01 폭발 현상
02 폭발효과
03 물리적 폭발
04 화학적 폭발
05 폭발조사
Chapter 10 증거물의 수집과 처리
01 증거의 정의 및 종류
02 증거보존을 위한 현장 조치
03 증거수집 용기
04 증거물 수집 및 오염 방지
05 증거물의 보관 및 이송
06 증거물 감정 분석
07 증거물의 처리
Chapter 11 화재사
01 화재현장에서의 죽음
02 화재 당시 생존 흔적
03 화상
04 생사의 갈림길에서 인간의 행동과 판단
05 사망자의 신원 확인
Chapter 12 화재조사 논증오류 사례의 비판적 분석
01 모기향을 화재원인으로 판단한 사례
02 방화를 담뱃불 화재로 오인한 사례
03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를 방화로 오인할 뻔한 사례
04 담뱃불로 인해 차량 내부에서 발화된 판단한 사례
05 전기다리미를 발화원으로 판단한 사례
06 자연발화를 방화로 판단한 사례
07 촛불에서 발화된 것으로 판단한 사례
08 담뱃불이 마른 낙엽에 착화한 것으로 판단한 사례
09 전기스토브의 착화 타이밍을 부정한 사례
10 2개소 이상 단락흔 성립에 대해 논리가 미흡했던 사례
11 석유난로 오급유에 의한 비정상 연소를 복사열 발화로 오인한 사례
12 정황증거에 의존하여 방화를 화기취급 부주의로 오판한 사례
13 소똥의 발화 가능성을 외면한 사례
14 전기적 요인을 방화로 오판한 사례
15 영하의 날씨에 담뱃불 발화 가능성을 의심한 사례
16 들불화재의 연소성을 무시한 사례
Chapter 13 화재관련 판례
01 화재분쟁
02 손해배상 관련 판례
03 구상금 관련 판례
04 방화 관련 판례
05 채무부존재 관련 판례
06 그밖에 소방 관련 판례
참고문헌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