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서론 : 왜 ‘패치워크 인문학’인가?
제1장 패치워크로 본 즐거운 역사
01. 아시아 4대 경제대국 대한제국의 비밀
02. 대한독립만세 3ㆍ1 운동의 사상적 기반
03. 200만대 4만; 기독교에 대한 동학의 승리 비결
04. 정여립의 대동혁명사상; 근대 주권재민 사상의 기원
05. 구텐베르크보다 앞선 『직지』의 문화력
06. 세종 때 만개한 패치워크 문명, ‘C4J0K21O19’ 비밀
07. 남북통일 이후 國號도 대한민국이 돼야 하는 이유
08. 김구 밀턴 이순신 링컨에서 배우는 성공방정식
09. 세계는 가치 아노미 시대, 인문사회과학 삼성 만들자
제2장 슬픈 역사 극복하는 패치워크
01. 聖人과 覇者의 갈림길; 주공과 태종, 세조의 선택
02. 조선중기 3대 비극 주인공, 남이 이순신 이괄
03. 나라 망친 ‘주자의 주자에 의한 주자를 위한’ 성리학
04. 다산의 시대착오 牧民, 백성을 소나 양처럼 친다고?
05. 附外自蔑 북학파, 훈민정음 버리고 중국어를 공용어로?
06. 탕평군주 정조의 최대 실수, 체크 & 밸런스 시스템 붕괴
07. 易地聘禮 의미 알지 못한 정조의 비극
08. ‘徵用工’이 ‘舊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라고?
09. 일제의 창씨개명과 ‘도로명 주소’
제3장 서구 근대 형성의 동양적 기초; ‘공자 이코노믹스’
01. 근대경제학 아버지 아담 스미스, 그럼 할아버지는?
02. 계급투쟁과 유효수요 부족 뛰어넘는 새 경제학
03. 가진 사람을 위해 세금 더 거둔다고?; 염구를 파문하라
04. 공자의 일자리 경제학, ‘문제는 일자리야 이 바보야…’
05. 공정과 효율; 시장의 실패와 정부의 실패 조화
06. 노란조끼와 ‘1억 달러 결혼식’; 均 和 安의 정치경제학
07. 저녁이 있는 삶과 보름달 뜨는 밤의 드라큘라 공포
08. 썩은 사과와 밧세바 증후군, 그리고 成人
09. 고려와 영국 미국이 융성했던 비결
제4장 한국병 고치는 패치워크 인문학
01. 사교육과 내 집 마련이 자살 불행 부른다
02. 수능폭력, ‘敎院복합체’; 학생 학부모 학교 피로 번성
03 법만으로는 ‘양진호 폭행’ ‘시험지유출’ 못 막는다
04. 厥孚威如; 서릿발 위엄 있어야 믿음과 정치 바로 선다
05. 노무현 대통령의 適所適材
06. 3ㆍ1 운동 임시정부 100주년; 蝸角之爭에서 벗어나자
07. 우문현답 vs 紙上談兵; 낮은 데로 臨해 크게 보라
08. “No” 라고 말한 제퍼슨 리더십 절실
보론 ; 習近平의 ‘中國夢’ 성공할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