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知의회랑 8권. 오랜 시간 대중매체의 역사성, 문화시장과 문장표현에 대한 국가검열의 영향에 초점을 두고, 문화제도사의 시각에서 식민지 근대성의 구조를 해명하는 데 몰두해온 한기형 교수가 다방면으로 모색해낸 식민지 검열연구의 결정판이다.
목차
서문
제1부 식민성의 기층
제1장 식민지, 불온한 것들의 세계
제2장 ‘문역文域’이라는 이론 과제─검열, 출판자본, 표현력의 차이가 교차하는 지점
제3장 ‘이중출판시장’과 식민지 문화─‘토착성’이란 문제의식의 제기
제4장 검열장의 성격과 구조
제2부 검열이라는 거울
제5장 대중매체의 허용과 문화정치의 통치술
제6장 식민지 검열현장의 정치맥락─『개벽』과 『조선지광』의 사례
제7장 식민지의 위험한 대중시가들─『조선어 신문의 시가[諺文新聞の詩歌]』(1931)의 분석
제8장 선전과 시장, 문예대중화론의 재인식
제9장 한문자료를 읽는 검열관
제3부 피식민자의 언어들
제10장 3.1운동과 법정서사─조선인 신문의 반검열 기획에 대하여
제11장 통속과 반통속, 염상섭의 탈식민 서사
제12장 성노동에 대한 사유와 상징검열의 외부─검열의 시각으로 해석한 김유정의 소설
제13장 심훈의 고투, 검열과 식민지 소설의 행방
제14장 식민지 구소설과 하위대중의 상상체계
제15장 하위대중의 형이상학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근대사회에서 읽힌 『심청전』과 ‘죽음’의 문제
부록
1. 국외 발행 불온출판물 일람표(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 『신문지요람』, 1927)
2. 병합 20주년에 관한 불온문서(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 조사자료 14집, 1929)
3. 고등경찰관계주의일표(조선총독부 경무국, 『고등경찰용어사전』, 1933)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