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도시 경험의 근저(根底)에서 작용하는 잠재적 구조로서의 ‘도시의 시학(詩學)’을 주제로 삼고 있다. 거론되는 대상은 도시론, 건축론, 신화, 시, 소설, 자서전, 수필 등의 텍스트에서부터 회화, 사진, 영화의 이미지에까지 이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1부 도시의 시학(詩學)
제1장 도시의 전기(傳記) - 유형(類型)·유추(類推)·유년시절
제2장 '메타(Meta) 세계'로서의 도시 - 알도 로시의 말 없는 건축
제3장 청천백일멱망시(靑天白日覓亡市) - 고무라 셋타이(小村雪岱) 『니혼바시히모노초日本橋檜뮬
2부 빛ㆍ어둠ㆍ황혼
제4장 자연의 무관심 - 하타케야마 나오야(畠山直哉) 「도시와 그 기원」
제5장 갈림길의 에로티시즘 - 영화에 나타나는 황혼의 점괘
3부 신화(神話)와 과학
제6장 산 자와 죽은 자의 토폴로지 - 마음의 고고학(1)
제7장 아하스베루스의 얼굴 - 마음의 고고학(2)
제8장 장식이라는 이름의 군중 - 신경계 도시론(神經系 都市論)의 계보
제9장 도시의 애니미즘(animism) - 신(神)의 원(原)풍경
4부 유희(遊戱)의 규칙
제10장 개(犬)의 거리 - 경계(境界)의 서사시, 모리야마 다이도(森山大道) 『신주쿠(新宿)』
제11장 사냥꾼들의 이야기 - 렌가(蓮歌)로서의 노상(路上)관찰
제12장 도시(都市)라는 경이로운 방 - 박물지(博物誌)의 지식에 대한 재고(再考)
5부 경관(景觀)의 논리
제13장 무연(無緣)의 근원 - 강변의 모래밭과 영혼의 시장(市庭)
제14장 방법의 생태학 - 다윈, 벤야민, 미야모토 쓰네이치
맺음말 향수(鄕愁)와 예감(豫感)
제15장 도시의 시학 -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의 스테레오 사진
주석
발문 - 물가의 지식
역자 후기
연표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