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조선왕조 빈곤정책에의 어프로치
제1장 동아시아 역사비교연구의 방법과 관점
1.동아시아 비교의 관점
2. 미시사적 관점 및 사료
제2장 동아시아 비교사회정책사의 관점에서 본 조선왕조시스템: 한국사회정책의 역사문화적 유산
1.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조선
2. 통치구조와 정책기조
3. 주자학 교조주의와 사회문화
4. 인구 및 생활수준의 변동
제2부 조선왕조 빈곤정책의 내용과 특징
제3장 빈곤의 규모와 구빈제도의 개관
1. 기근의 발생과 그 규모
2. 복지제도의 개략
3. 동아시아의 창제도
4. 조선의 창제도 개관
제4장 예방적 빈곤정책: 환곡제도를 중심으로
1. 창제도 운영의 기본 조건
2. 환곡의 운영구조
3. 환곡에 대한 세 가지의 입장
4.조선의 창제도에는 왜 물가조절 기능이 없었는가?
5. 환곡제도의 특수성: 중국 창제도와의 비교
6. 환곡의 구휼적 성격과 귀결
제5장 사후적 빈곤정책: 진휼정책
1. 진휼정책의 전개
2. 국왕의 대응: 덕치와 책기
3. 진휼정책의 법적 근거와 구빈기구
4. 구휼정책의 내용
5. 구빈정책의 재원
6. 진휼정책의 현장: 한중일의 사례
제6장 빈곤아동보호정책
1. 기아 걸식아동의 발생과 아동보호
2. 『자휼전칙』의 시행
3. 빈곤아동보호와 관련된 몇 가지 사회정책적 논의
제3부 비교사회정책사적 질문과 사회정책사의 사례연구
제7장 대규모의 창제도는 빈곤관에 어떤 영향을 남겼는가
1. 극히 큰 규모의 창제도
2. 환곡규모 확대의 메커니즘
3. 민중의 빈곤관에의 영향
제8장 가족주의의 역사적 기원
1. 가족주의의 개념: 그 반대개념으로부터의 접근
2. 전통적 가족형태의 형성
3. 가족책임으로서의 가족주의
4. 가족단위 대처방식으로서의 가족주의와 여성의 지위
5. 차별주의로서의 가족주의-서얼 차별
종장 요약과 결론, 그리고 몇 가지 생각해 볼 문제
1. 요약과 결론: 조선왕조 빈곤정책의 특징
2. 현대사회정책과 관련된 몇 가지 논점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감사의 글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