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지방 소멸'이라는 말이 등장해 일본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다. 이는 일본창성회의 대표 마스다 히로야가 쓴 「마스다 보고서」에서 언급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2040년 20~39세의 여성 인구를 추산해 현재보다 인구가 절반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목차
감수의 글: 일본 농산촌의 부활을 묻고 한국형 ‘지방 창생학’을 시작하자
머리말: ‘지방 소멸론’의 등장
1장 농산촌의 실태 01. 농산촌 공동화의 진전 02. 강인한 농산촌 마을 03. 농산촌에 대한 전망: 「마스다 보고서」를 생각하다
2장 지역 만들기의 역사와 실천 01. 지역 활성화에서 지역 만들기로 02. ‘지역 만들기’ 체계화를 위한 도전 03. 지역 만들기 프레임워크 04. 지역 만들기의 세 가지 축
3장 지역 만들기의 여러 가지 모습 01. 지역 만들기의 선행 사례: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니호 지역 개발협의회 02. 새로운 형태의 지역 만들기 03. 왜 주고쿠 산지인가?: 사례가 의미하는 바
4장 지금 현장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정책과대책의 새로운 전개 01. 보조금에서 교부금, 보조인으로 02. 지원 주체의 존재 방식 03. 새로운 정책의 자리매김 04. ‘보조인’의 역할과 과제
5장 전원 회귀 전선 : 농산촌 이주의 과제 01. 전원 회귀의 현재 02. 농산촌 이주의 실태: ‘따뜻하고 근사한’ 지역으로 03. 농산촌 이주의 지원책 04. 농산촌 이주의 과제
맺음말: 농산촌 재생의 과제와 전망
후기 옮긴이 후기: 위기가 곧 기회, 농산촌 마을의 가능성을 생각하며
서가브라우징
우리 곁의 난민 : 한국의 난민 여성 이야기2017 / 지음: 문경란 / 서울연구원
출퇴근의 역사: 매일 5억 명의 직장인이 일하러 가면서 겪는 일들2016 / 지음: 이언 게이틀리; 옮김: 박중서 / 책세상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2016 / 지음: 제임스 매키넌, 옮김: 윤미연 /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