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독립운동사 및 친일반민족사 연구가이자 대한민국 근현대 인물 연구의 권위자인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은 조선의열단 창단 100주년을 기념해 어느 한 사람의 역사가 아닌, 의열단 창단에서부터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군)로 이어지는 ‘의열단’의 역사를 들려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들어가는 말: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를 준 의열단
1장 의열義烈의 사력
1. 일제가 가장 두려워했던 항일단체, 조선의열단
2. 의를 위해 몸을 던진 지사들
3. 조국 해방 전쟁에 나선 단체들
2장 의열단을 창단하다
1. 배신자가 없었던 의열단 창립 단원
2. 김원봉, 의백義伯으로 선임되다
3. 일곱 부류의 암살 대상과 다섯 가지의 파괴 대상
4. 진보적인 의열단 강령
5. 폭탄 제조기술을 익혀 실전에 대비하다
6. 황상규와 김대지의 역할
3장 왜적을 타도하자
1. 실패로 끝난 첫 번째 거사
2. 박재혁, 부산경찰서장을 처단하다
3. 최수봉, 밀양경찰서에 폭탄을 던지다
4. 김익상,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던지다
5. 일본 육군대장 저격
4장 신채호, 「의열단선언」 짓다
1. 김원봉, 신채호를 찾아 베이징으로
2. 신채호의 「의열단선언」
3. 일제는 한민족 생존의 적이다
4. 강도정치에 타협하거나 기생하는 자는 우리의 적이다
5. 외교론·준비론 미몽을 버리고 민중직접혁명을 선언하노라
6. 양병 10만이 일 척의 작탄만 못하나니
7. 새로운 조선을 건설하자
8. 의열단 총회 열어 결의를 다지다
9. ‘불멸의 문헌’이라는 역사적 평가를 받다
5장 이어지는 의열투쟁
1. 박열, 일왕 부자 처단을 기도하다
2. 김상옥, 종로경찰서에 폭탄 던진 뒤 일경과 전투
3. 동양척식주식회사 폭파를 시도하다
4. 일제 정보자료에 나타난 의거 준비 과정
5. 김지섭, 일왕궁 입구에 폭탄을 던지다
6. 이인홍과 이기환, 밀정 김달하를 처단하다
7. 이종암 등의 군자금 모금 의거
8. 나석주,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식산은행에 폭탄 던지다
9. 이해명, ‘변절’한 박용만 처단
6장 의열단의 의기와 자료(사료)
1. 머리에는 민족주의, 가슴에는 아나키즘
2. ‘조선 독립에 모든 것 바친다’
3. ‘오직 자유를 위한 행동뿐이다’
4. 의열단의 ‘3·1 혁명 10주년 선언’
7장 내외의 거센 도전과 새로운 진로
1. 명성이 높아지고 세력이 강화된 의열단
2. 정세 변화와 안팎의 시련
3. 황푸군관학교에서 정치·군사교육 받다
4. 진보인사들과 의열단 진로 논의
5. 폭렬투쟁에서 ‘민중혁명’으로
8장 폭렬투쟁에서 대중운동으로
1. ‘조선전민족단일혁명당’을 추진하다
2. 의열단원들, 국내에서 노농운동 지도
3. 일제의 만주 침략으로 국민당 정부와 합작하다
4. 조선혁명정치간부학교 설립
5. 조선혁명정치간부학교는 의열단 양성소
6. 노래로 민족의식 일깨우다
7. 민족시인 이육사
8. 혁명음악가 정율성
9장 민족혁명당 모태 역할
1. 민족혁명당, 좌우 진영을 통합하다
2. 민족·민주 혁명 이념 제시
3. 각 계파 안배된 민족혁명당 간부진
4. 이청천 계열 이탈로 당세가 약해지다
5. 《민족혁명당보》 발행
6. 민족혁명당의 ‘실천적 의의’
10장 조선의용대 창설과 항일전
1. 조선의용대를 창설하게 된 배경
2. 신채호, 뤼순감옥에서 옥사하다
3. 1938년 10월 10일, 조선의용대가 창설되다
4. 조선의용대 창설에 얽힌 뒷이야기
5. 의열단의 후신, 조선의용대
6. 일본 반전운동가들과 연계투쟁
7. 임시정부에서도 한국광복군 창설
8. 장제스, 김구와 김원봉을 초청해 한중연합전선 제의
11장 두 쪽으로 갈라진 조선의용대
1. 조선의용대의 다양한 활동
2. 반파시스트동맹 결성
3. 조선의용대, 분열될 위기를 맞다
4. 중국공산당의 김원봉 고립 작전
5. “망명자 가족 생계유지 때문”이라는 이유
12장 거듭된 희생과 시련
1. ‘셈해지지 않는’ 희생자들
2. 타이항산에 묻힌 윤세주
3. 김원봉이 쓴 윤세주 약사
4. ‘내명년에는 조국에 진입하겠다’ 선서하더니!
5. 조선의용군 무명 전사자에게 바치는 노래
13장 분단된 조국에서
1. 남북으로 갈려 입국한 조선의용군
2. 최후의 의열단원, 이승만을 쏘다
3. 의열단 무명전사 위령탑을
주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