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중국은 어떤 나라인가?
1. 중국이라는 나라의 외형과 내면의 모습
2. 제국주의 국가로서의 중국
3. 전제주의 지향의 다문화 다민족 국가로서의 중국
문화권 국가로서의 중국의 모습
1. 중국의 형성과 발전
1) 다원일체 국가라는 중국의 형상
2) 한족의 형성과 발전과정
3) 중국의 문명과 한족의 발전
2. 문화권 국가로서의 중국의 특징
유교, 사회 통치 질서의 이념과 시스템 : 정치, 사회 이념의 동질성을 위한 도구 -유교는 어떻게 중국을 지배하여 왔는가?
1. 유교의 수용과 통치이념의 정립
2. 정치이념과 통치시스템으로서 유교의 역할
3. 유교의 부활과 공산당 정권의 유교 활용
한자의 특성과 통합적 도구로서의 역할 : 문화이념의 동질성을 위한 도구
1. 통합도구로서의 한자(漢字)의 사회적 역할
2. 통합도구로서의 문명적 실체와 한자의 특성
중화사상의 본질 : 중국인들은 왜 그렇게 이중적이고 배타적이며, 또한 철저하게 자기중심적일까?
1. 중화사상이란 무엇인가?
2. 중화사상의 유래와 시작
3. 유교와 중화사상
4. 차별과 배척, 팽창과 확장을 위한 욕구의 상징
도가니와 장독
1. 융합과 창조적 도구로서의 도가니
2. 장독 세계가 만들어 놓은 정체와 타락
집단의식과 자아 중심의식
1. 중국인의 집단의식-팽창과 확장
1) 중국은 어떻게 팽창해 왔는가?
2) 팽창과 확장의식의 저변과 시작
2. 자아 중심의식-중국식 이기주의 또는 배타주의
화(和; 친구사귀기)와 쟁(爭; 싸움) : 화합과 융합, 그리고 싸움
1. 중국인들은 왜 싸움에 익숙한가?
2. 중국인들은 왜 그렇게 사람 사귀기를 좋아 하는가?
방(方; 네모)과 원(圓; 둥금) : 양극화한 중국인들의 사고방식
1. 중국인들의 방형적 삶과 사상, 그리고 행동
2. 중국인들의 원형적 사고의 남용과 오용
흑(黑)과 백(白), 그리고 회색(灰色) : 중국인들의 삶의 양태와 행동
1. 흑과 백, 그리고 중국인 삶의 양태와 행동
2. 흑과 백의 융합으로서의 회색
사진, 그림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