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실무자가 쓴 파노라마 형식의 페스티벌 100℃ 노트. 초보 페스티벌 조직자는 물론 시대에 뒤떨어진 프로 페스티벌 조직자, 학생, 교육자를 위하여 수많은 국가행사 및 지역축제 등의 평가와 자문역을 맡아온 저자는 실전에서 얻은 생생한 사례와 이론을 이 책에 담아냈다.
목차
1_ 이벤트란 무엇인가 이벤트의 어원과 개념 이벤트의 사전적 의미 이벤트의 현상적 의미 이벤트 정의가 다양한 이유는? 이벤트의 개념적 접근 이벤트를 산업으로 접근하는 이유 마케팅으로 이벤트 위치 이벤트의 분야별 접근 이벤트의 성격에 따른 유형과 분류 따라서 이벤트의 접근은? 이벤트 구성요소 이벤트의 특성 이벤트의 학술적 정의 본서의 이벤트의 정의 이벤트 유형과 분류 참가자에 따른 이벤트 분류 국회의 이벤트학문 동향 국내의 이벤트학문 동향 이벤트 관련 국가별 논문현황 이벤트 관련 연구현황 국내이벤트관련 연구현황(2005-2010) 이벤트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사례검토: 영국의 에딘버러 축제(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2_ 축제이벤트의 이해 축제의 용어 정의 축제의 필요성 축제산업의 일자리 창출 축제의 지향점 한국 축제의 현황(연도별) 이벤트와 축제의 특성에 따른 접근 관광이벤트 측면에서 Festival의 이론적 접근 사례검토: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Rio Carnival)
3_ 축제개념과 본질의 이해 하나의 브랜드로서의 축제가 갖는 다양한 의미 축제이벤트와 일상생활의 차이 세계의 축제이벤트 기원 국내의 축제이벤트 기원 축제이벤트의 어원 축제이벤트의 정의 한국 Festival의 발달과정 Festival의 본질적 성격 Festival의 기능 사례검토: 스페인의 산페르민 축제(San Fermin Festival)
4_ Festival 방문객의 개념 이해 현대사회의 이해 방문객의 행동 변화 Festival 방문객의 특성 방문객의 Festival 참가동기 Festival의 형성배경 Festival의 형성체계 공급측면의 형성배경 수요측면의 형성배경 따라서, Festival의 방문객은? SIT의 개념 결국 SIT(Special Interest Tourism)의 정의는 SIT측면에서의 Festival의 유형과 분류 SIT와 Festival의 범주의 개념중복 검토 SIT활동과 Festival의 참가 관련 동기 예 참가자의 성향과 특성 Mass Tourism SIT Festival의 특성비교 관광의 단계별 결정과정 GITㆍMITㆍSIT의 순환개념 사례검토: 방문객 유치를 위한 기획 설계의 예
5_ 문화관광축제의 이해 우리나라 축제의 개최 및 특징 우리나라 축제의 이슈와 문제점 지역축제와 문화관광축제 문화관광축제 도입배경 문화관광축제 운용에 따른 성과 문화관광축제 기획 및 운영평가 결과 문화관광축제 기획사례분석 문화관광축제 기획의 중점 둘 사항 사례검토: 안동 탈춤 페스티벌
6_ 축제의 분류와 효과 축제의 분류 축제소재에 의한 분류 축제소재에 따른 주요축제 축제개최목적에 의한 분류 축제프로그램 유형에 의한 분류 축제성격에 의한 분류 운영방식에 의한 분류 축제분류 기준표 축제의 효과 경제적 효과 사회적 효과 문화적 효과 교육적 효과 축제의 부정적 효과 사례검토: 보령 머드 축제
7_ Festival의 기획과정 기획의 성격 전략적 기획은 상설이벤트의 경우는 기획은 또한 정치적 과정이다 기획ㆍ계획의 개념 이해 전략ㆍ기획ㆍ전술ㆍ계획의 차이 Festival의 기획과정 Festival 기획작성원칙 결국 기획능력이란? 그렇다면, Festival 기획이란? Festival의 매너지먼트 사이클 Festival 진행절차 현업의 기획 과정 운영구성에 필요한 기획 방향 일회성을 위한 프로젝트 기획절차 사례검토: 『제-회 경기도 세계도자비엔날레 개막식 행사 기획(예시)』
8_ Festival Marketing Festival Marketing의 중요성 Festival Marketing의 효과 창출의 예 Marketing의 정의 따라서 Festival Marketing의 정의는? Festival Marketing 사고 Festival Marketing의 과정 Festival Marketing의 4P 적용 Festival Marketing의 포지셔닝 Festival 포지셔닝 전략수립절차 슬로건을 활용한 포지셔닝의 예 슬로건의 작성원칙 Festival Marketing과 포지셔닝 활용 사례검토: 『제주지역 MICE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세미나』제주지역 산업박람회(EXPO)활성화 방안
9_ 축제홍보마케팅 PR이란 PR과 유사한 개념들 용어의 차이 홍보마케팅이란 한국은 지금 ‘축제 중’ 그러나 축제이벤트 홍부 위상은 어떨까? Festival의 커무니케이션 전략수립 절차 홍보 과정 Festival 홍보 담당자의 역할 Festival 홍보 담당자가 가져야 할 덕목 MPR을 위한 다양한 수단 축제이벤트 홍보마케팅 방안은? 사례검토:『천안 국제웰빙식품 엑스포』홍보 마케팅(예시)
10_ 축제이벤트 스폰서십 스폰서가 잘된 이벤트 상업적 스폰서의 개념 스폰서십과 유가개념 상업적 스폰서십의 개념 스폰서십을 위한 기획사례: 행사를 위한 준비 과정과 내용이 우선 중요 성공적인 이벤트 매니저의 주요역할 전통과 변화 강한 이벤트를 만드는 핵심 이벤트에 스폰서를 하는 이유들 기업이 이벤트에 스폰서를 제공하는 이유 브랜드 인지도 강화 소비자 태도 형성 틈새시장 공략 고객 접대 상품 판매기회 상품의 특징 전시 경쟁업체와의 제품 차별화 판매촉진 마케팅계획 스키너(Skinner)의 스폰서십 마케팅 계획요소 스폰서십의 성공요인 스폰서십의 유형 스폰서십의 종류 스폰서십 판매대상 기업 스폰서는 다른 스폰서를 데려온다 훌륭한 스폰서십 마케팅 계획 개발의 세가지 비결
11_ Festival 평가 Festival 평가의 의미 Festival 평가의 목적 Festival 평가의 효과 구분 Getz의 평가이유 Faulkner, B의 평가이론 Festival 평가의 구성 Festival 평가의 모형 Festival 평가 방향 Festival 관련 평가방법 Festival 평가항목과 기준 사례검토: 제59회 백제문화제 평가의 사례
서가브라우징
茶道와 직장예절2012 / 제순자 편저 / 세종출판사
오키나와 다케토미지마 섬의 다나두이 축제2019 / 저자: 가리마타 게이이치 ; 역자: 김용의 /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대한민국의 아름다운)축제 = Festival2010 / 김경아 지음 / 기린원
(대한민국의 아름다운)축제 = Festival2010 / 김경아 지음 / 기린원
축제, 세상의 빛을 담다 : 색으로 보는 유럽축제 이야기2006 / 김규원 지음 / 시공아트
세계 축제경영 = Festival2002 / 김춘식 ; 남치호 [같이]지음 / 김영사
축제와 융합 콘텐츠 전략2015 / 지은이: 류정아 / 커뮤니케이션북스
100℃로 올리는 페스티벌 기술 = Festival note 100℃ : 독창성과 기획이 만나다 : 페스티벌 강의노트2014 / 지음: 박정배 / 세창미디어
축제와 평화2022 / 지음: 박정진 / 신세림
축제로의 여행2001 / 백남천 글.사진 / 성하출판
세계 축제의 향연 : 세계 축제의 현장가 그 의미를 찾다2015 / 류정아, 윤선자, 김용호, 김정하, 주종택, 강정원, 최금좌, 유목화, 양회석, 박환영, 김양주 지음 / 심미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