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추천의 말
이수열 선생님에 대하여
제1장 발음
1. 모음
2. 자음
3. 소리의 장단
제2장 서술법
1. 국어 문장의 기본 유형
2. 기형(畸形) 서술어
가진다, 갖는다
∼시킨다
∼어(아)진다
∼이루어진다
∼이어진다
∼주어진다
∼된다
∼되어진다
받다, 입다, 당하다
∼화(化)한(시킨, 된, 되어진)다
∼곤 한다
3. 말본에 어긋난 서술형
∼이지 않다
‘이다’를 대신하는 ‘된다’
잘 가려서 써야 할 말끝 1
잘 가려서 써야 할 말끝 2
잘못 쓰는 보조 형용사 ‘아니하다’
자리를 옮긴 과거시제 ‘았’, ‘었’
분별없이 쓰는 시제
∼이다
기본형을 잘못 알고 쓰는 말
4. 거북하게 길든 서술법
격식화한 서술
토막난 서술
∼도록 한다
∼기로 한다
엉터리 ‘하다류(類)’ 동사
5. 일어식 서술
∼있으시기 바랍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을(를) 요(要)한다
∼에 다름 아니다
∼에 갈음한다
∼에 값한다
∼에 틀림없다
6. 영어식 서술
‘∼에 의하여’형
‘∼부터’형
그 밖의 몇 가지 유형
제3장 수식법
1. 부사를 옳게 쓰기
그대로
서로
스스로
모두
2. 그 밖의 남용하는 부사와 부사적 표현
굉장히
너무, 너무너무
크게
보다
더 이상
라고, 라는
∼면서
∼가운데
∼ 이후부터, ∼ 이전까지
연결어미처럼 쓰는 종결어미 ‘가’
제4장 조사
1. 관형격 조사 ‘의’
관형격 조사 ‘의’를 쓰게 된 역사
겨레의 넋이 깃들인 ‘내’, ‘네’, ‘제’, ‘뉘’
개화기의 문란한 용례
현재의 난맥상
2. 다른 조사에 붙은 ‘의’
∼마다+의
∼로부터의, ∼으로부터의
∼에의
∼에게로의
∼에서의
∼와의
∼으로의
∼만으로의
∼으로서의
∼에 있어서의
∼나름대로의
3. ∼마다
~마다에
~마다에는
4. ∼만이
용언의 명사형+으로써+만이
용언의 연결형+만이
체언+만이
제5장 잘 가려 써야 할 말
1. 서로 구별해야 할 말
첫째/둘째, 첫 번째/두 번째
이르다, 빠르다
빠른 시일, 이른 시일, 가까운 시일
다르다, 틀리다
작다, 적다
낮다, 얕다
필요, 이유
이유, 원인, 목적
∼으로해서, ∼므로해서
∼로써·으로써, ∼로서·으로서, ∼로·으로
가르친다, 가리킨다
놀란다, 놀랜다
일절(一切), 일체(一切)
몇, 어느
누구, 아무
언제, 아무 때
어디, 아무데
옳다, 맞는다
답다, 스럽다
진짜, 참, 정말
또, 또한
고맙다, 감사한다
닦는다, 씻는다, 훔친다
맨다, 묶는다
2. 잘못하는 배수 표현
제6장 바로 써야 할 말들
1. 뜻을 잘 모르고 잘못 쓰는 말
어휘 (語彙)
자문 (諮問)
지양 (止揚)
차원 (次元)
측면 (側面)
반증 (反證)
문화 (文化)
공식 방문 (公式訪問)
2. 치졸하게 쓰는 서술적 표현
∼뿐이 없다
바라겠습니다
∼이 아니겠습니까?
바라고 싶다
기대하고 싶다
있게 되겠습니다
∼ㄴ 것 같다
모양 같다
기억난다
배워 준다
있으시다
∼이 그렇게 ∼ㄹ 수가 없다
∼이 아닐 수 없다
∼이 아닌가 싶다
종이 난다
축하드린다, 진언(進言)드린다
바꿔 줘, 끊어
∼받다
안 좋다
∼시한다
가로챈다
∼인 것이다
∼고 있다
∼이었습니다
∼해야 했다
∼드라구요
∼는 거 있지
식사하세요
수고하세요
신경 쓰지 마세요
알겠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마치겠습니다
출사표(出師表) 던진다
3. 엉터리 말
냉탕 (冷湯)
뒤바뀐 안팎
버스값, 수매값
피로회복제
입장 (立場)
불이익 (不利益)
안전사고
저희들
들, 등 (等)
중국 동포
무어가
먹거리
끼(기, 氣)
왠지
및
또는
내지 (乃至)
∼같은
현주소
미지수
변수 (變數)
대명사
절체절명 (絶體絶命)
정체성 (正體性)
∼에 대한
누군가가, 무언가가
∼에 빛나는
∼에 있어서
∼의 경우
∼ㄴ(한)다면
∼로 인하여
모처럼 만에
우연치 않게
비단 (非但)
차별성
시각
여부 (與否)
뿐만 아니라
∼에도 불구하고
떡값
관례 (慣例)
대가성 없는 돈
망명 요청
4. 짜임새가 거북한 말
순수 국어+한자어
한자어+순수 국어
수관형사+개(個)+명사
∼적(的)
5. 뜻이 같은 말을 겹친 표현
필요 없는 수식어를+ 덧붙인 말
시대나 시기를 나타낼 때 보이는 겹말
‘하다’를 취해 동사로 써야 할 한자어를 겹말로 변형한 말
6. 졸문을 만드는 ‘그녀’, ‘그’
‘그녀’, 와 ‘그’를 쓰지 말아야 한다
용해
부록
일본어 찌꺼기
간추린 문법과 한자어 구조의 유형
셈매김씨[數冠形詞], 하나치[單位名詞]
표준어 규정(제2부 표준 발음법)
한글 맞춤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