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에 대한 철학적, 사회학적 이해를 제공하면서도 청소년을 위한 인문교양서로서 이미지의 문제에 대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이미지가 야기하는 문제들을 근원에서부터 접근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에 도달하고자 했다.
목차
1. 이미지의 힘 이미지의 시대 천의 얼굴, 천의 이미지 진짜인 듯 진짜 아닌 진짜 같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마술 보는 것이 아는 것이다 나는 누구, 여긴 어디
2. 이미지와 재현 이미지다운 게 뭔데? 내가 그린 기린 그림은 잘 그린 기린 그림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면? 시선의 사회적 권력
3. 우리가 보는 이미지 영원히 볼 수 없는 본모습 - 거울이미지 세상에서 가장 친근한 낯선 이 이미지가 아직도 이미지로 보이니? - 그림이미지 오늘의 낙서가 내일의 명화로 세상을 보는 ‘순수한 눈’은 없다 대중이 원했던 마법의 기술 - 광학이미지 모든 것이 기록되고 보존되는 시대 현실일까 가상일까? - 디지털이미지 영원한 미완성의 이미지
4. 설득의 이미지 이미지는 힘이 세다 세상은 추한 곳일까, 아름다운 곳일까? - 선전이미지 이미지는 이미지일 뿐이라고? 자본주의의 꽃 - 광고이미지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빼면 뭐가 남을까?
5. 이미지와 함께하는 삶 보이는 게 다는 아니지 이미지 꼬리잡기 소멸을 꿈꾸는 이미지 달콤한 이미지 랜드로의 초대 이미지, 또 하나의 우주를 낳다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살아남기
서가브라우징
무엇을 할 것인가? : 그람시를 읽는 두 가지 방식 : 알튀세르 유고집2018 / 지음: 루이 알튀세르 ; 옮김: 배세진 / 오월의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