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문학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상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책이다. <서경>에서는 정치적 상상력을, <이소>에서는 하늘과 땅을 넘나들며 지기(知己)를 찾는 상상을, <낙신부>에서는 신녀(神女)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상상을 만나 볼 수 있다.
목차
책머리에
01 여와가 하늘을 보수하다 - 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남명훈(覽冥訓)》
◆여와란 누구인가
◆여와의 인류창조
◆인류를 구원한 여와
◆여와 신화의 변천
◆신화와 소설
02 예가 열 개의 태양을 쏘다 - 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본경훈(本經訓)》
◆열 개의 태양
◆태양을 쏜 예
◆지상의 맹수를 제거한 예
◆혼자 불사약을 먹고 달로 달아난 항아
◆예와 복비의 사랑
◆예의 최후
◆예 신화의 변천
◆마음속의 신들
03 나무는 먹줄을 따라 잘라야 반듯해지고 - 《서경(書經)·열명(說命)》
◆꿈속에서 본 사람을 기용한 무정
◆정치적 상상력
◆두 가지 원칙과 죽어서 별이 된 부열
◆또 다른 정치적 상상력
◆《서경》의 명칭과 작자
◆체제와 내용
◆금문(今文) 《상서》의 발견
◆고문(古文) 《상서》의 발견
◆금·고문 《상서》의 융합
◆《공전고문상서(孔傳古文尙書)》의 출현
◆《공전고문상서》의 변위작업
◆《서경》의 주석서
◆우리나라의 《서경》 연구와 번역서
04 몸이 부서지더라도 변하지 않을 것이니 - 굴원(屈原)의 《이소(離騷)》
◆굴원과 《이소》
◆《이소》의 의미와 창작시기
◆내용과 의의
◆굴원과 그의 시대
◆굴원과 초사(楚辭) 문학
◆굴원의 작품
◆문학적인 의의
05 사람과 신의 길이 다름이 한스럽고 - 조식(曹植)의 《낙신부(洛神賦)》
◆당대 제일의 문학천재
◆조식의 일생
◆낙신(洛神)은 누구를 말할까?
◆형수를 사모한 동생
◆부(賦) 문학과 《낙신부》의 문학사적 의의
06 이상향을 찾아서 -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
◆짧았던 벼슬길
◆이상세계를 그림
◆도연명 이전의 이상세계
◆문학적 의의와 후세 영향
07 여산 폭포를 바라보며 - 이백(李白)의 《여산폭포(望廬山瀑布)》
◆두 수의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여산(廬山)의 위치와 창작 시기
◆남다른 공간적인 영감
◆“3,000척”과 “3,000장”
◆소식(蘇軾)도 감탄한 기상천외한 상상력
◆이백 시의 특징
◆이백의 상상력
08 동정호를 바라보며 - 유우석(劉禹錫)의 《망동정(望洞庭)》
◆“시호(詩豪)” 유우석
◆험난한 정치역정
◆시의 무대가 된 동정호(洞庭湖)
◆은쟁반 위의 푸른 고둥
◆쟁반 같이 둥근달
09 구리 낙타는 밤이면 흐느껴 운다 - 이하(李賀)의 《동타비(銅駝悲)》
◆“시귀(詩鬼)” 이하
◆불행했던 젊은 시절
◆한유(韓愈)의 변호
◆구리낙타의 슬픔
◆이하 시의 또 다른 특징
10 그대는 얼마나 많은 근심을 할 수 있소? - 이욱(李煜)의 《우미인(虞美人)》
◆황제 사인(詞人) 이욱
◆사(詞)와 《우미인》
◆창작시기와 독살된 이욱
◆근심과 봄날의 강물
◆이욱의 사와 문학적인 의의
11 6월 27일 망호루에서 취해 짓다 - 소식(蘇軾)의 《육월이십칠일망호루취서(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
◆중국 제일의 대문호 소식
◆항주(杭州)와의 인연
◆진주 알갱이
◆또 다른 명작
◆사의 창작
12 애타는 사람저 먼 곳의 애타는 사람을 생각하네 - 왕실보(王實甫)의 《별정(別情)》
◆《서상기(西廂記)》의 작가 왕실보
◆원곡(元曲)과 산곡(散曲)
◆산곡의 성행
◆치밀한 구성
◆끝나지 않는 이별의 슬픔
◆왕실보의 산곡 작품과 그 의의
13 활활 타오르는 불길은 구름바다를 비췄으니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연의(三國演義)》
◆《삼국지(三國志)》와 《삼국연의》의 차이
◆정사 《삼국지》와 소설 《삼국연의》 속의 적벽대전
◆영화 속 《적벽대전》
14 붉은 꽃 자주 꽃 한가득 피었어도 - 탕현조(湯顯祖)의 《모란정(牡丹亭)》
◆《꿈속의 사랑》과 《모란정》의 유행
◆《모란정》의 줄거리
◆사랑은 산 자도 죽일 수 있고 죽은 자도 살릴 수 있다
◆《모란정》를 통해본 중국희곡의 특징
◆세계에서 가장 긴 장편희곡
◆탕현조와 셰익스피어의 놀라울 정도의 유사성
◆《모란정》과 《로미오와 줄리엣》
15 귀신과 서생의 사랑 -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齋志異)》
◆“단편소설의 왕” 포송령
◆왕사정(王士禎)과의 인연
◆《섭소천》의 줄거리
◆귀신에서 사람으로
◆영화 《천녀유혼(倩女幽魂)》(1987)의 배경이 된 이야기
16 다시 캠브리지와 작별하며 - 서지마(徐志摩)의 《재별강교(再別康橋)》
◆짧았던 인생
◆캠브리지(Cambrige)와의 인연
◆서정성과 운율미를 겸한 시
◆서지마 시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