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본성의 역사 = The History of human nature
발행연도 - 2017 / 지음: 홍일립 / 에피파니
-
도서관
마전도서관
-
자료실
[마전]일반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ML0000004291
-
ISBN
9788955967807
-
형태
1182 p. 24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인식론, 인과론, 인간학
>
철학적 인간학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철학 일반
>
철학사
책소개
“인간 본성은 무엇인가?”라는 주제에 대해 이제껏 이루어진 사상가들과 과학자들의 생각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해낸 ‘최초의 책’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은, 인간이 인간에 대해 이해한, 인간 본성의 모든 관념을 시간적으로는 통시적, 내용적으로는 전체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왜 다시 '인간 본성'인가?
르미유와 고갱의 경우
'인간 본성' 관념의 역사
'인간 본성의 과학'의 출현
이 책의 관점
1부 선악의 문제
1. 고대 중국 성론의 배경과 갈래
2. 양주의 귀기론
3. 고자 대 맹자 - 생물학주의 대 도덕주의
4. 맹자의 성선 논증
5. 순자의 맹자 비판
6. 맹·순 사상 비교 - 다름과 비슷함
7. 한비자의 성악호리설
2부 이성의 발견
1. 철학의 탄생
2. 플라톤 인간학의 형이상학적 토대
3. 플라톤의 심신이원론
4. 국가-영혼의 확대판
5. 플라톤의 종교적 인간학
6.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본성론
3부 근대적 인간
중세 철학은 신학인가?
'근대적 인간'의 출현
1. 마키아벨리 - 인간 본성과 '국가 이성'
2. 데카르트의 '기계 속의 유령'
3. 토머스 홉스의 '자연상태'
4. 존 로크의 '빈 서판'
5. 데이비드 흄-'이성은 정념의 노예'
6. 루소의 '고상한 야만인'
4부 역동적 자아
1. 마르크스의 휴머니즘
2. 뒤르켐의 사회실재론
3. 파레토의 비논리적 행위 이론
4. 보아스의 문화실재론과 보아스주의
5. 프로이트의 무의식 가설
6. 스키너의 행동주의
5부 다윈의 '동물로서의 인간'
1. 다윈 혁명의 전조
2. 진화론의 이론적 구조
3. 다윈의 공동조상 논증
4. 다윈 인간학이 남긴 문제들
6부 생물학주의
1. 유전자선택론
2. 사회생물학과 인간 본성
3. '도덕의 생물학'
7부 인간 본성의 딜레마
1. 인간 본성 관념사의 핵심 쟁점
2. '인간 본성의 과학'은 새로운 인간학인가?
3. 심신문제의 굴레
참고문헌
인명색인
용어색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2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3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