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국제기구 총서 3권. 인권 문제의 등장과 보호 및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엔 중심의 국제인권체제 혹은 ‘국제인권레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인권분야의 글로벌 의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데 있어서 단일한 국제기구나 국제정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목차
머리말 / 박흥순
제1장 인권보호와 국제기구의 역할: 인권의제의 등장, 발전 및 영향 / 박흥순 Ⅰ. 서론 Ⅱ. 국제인권의 역사적 발전 및 개념 Ⅲ. 탈냉전 시대의 인권의제의 변화와 특징 Ⅳ. 인권보호와 국제인권레짐 Ⅴ. 유엔 및 국제기구의 작동: 역할과 주요 수단 및 제도 Ⅵ. 국제인권과 국제사회의 주요 쟁점 Ⅶ. 결론
제2장 유엔기구와 인권(I) / 서창록 Ⅰ. 서론 Ⅱ. 유엔헌장 기반 인권체제 Ⅱ. 주요 쟁점 및 현안
제4장 국제기구와 인도적 의제: 이주 및 난민 문제 / 이신화 Ⅰ. 서론 Ⅱ. 세계 이주 문제와 국제기구 Ⅲ. 세계 난민 문제와 국제기구 Ⅳ.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유엔헌장 [부록 2] 세계인권선언 [부록 3]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B규약) [부록 4] 시민적 및 정치권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C규약) [부록 5]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A규약) [부록 6]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1951년 7월 28일) [부록 7]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1967년 1월 31일) [부록 8] 국제이주기구 헌장 [부록 9] 유엔난민기구 헌장 [부록 10] 유엔인권이사회 이사국(47개국, 2015~2017) [부록 11] 조직도
색인 필자 소개(원고 게재순)
서가브라우징
불량 판결문: 이유 없고, 무례하고, 비상식적인 판결을 향한 일침2021 / 지음: 최정규 / 블랙피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