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自序
1부 _ 지금은 야만의 시간을 직시할 때
세월호 ― 지금은 야만의 시간을 직시할 때
호칭과 민주주의
조계사 앞의 성탄목
사회적 논의기구에 주목한다
노무현은 이제 ‘보통명사’다
지방을 살리자
우리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한미FTA 이후의 동아시아
혁명의 서사, 평화의 서사
민주와 공화의 상호진화 ― 6월항쟁 20주년에 부쳐
젊은이를 살리자
공화共和의 뜻
2부 _ 중형국가의 길
물고기가 변해 용이 되다 ― 2018 판문점 회담에 부쳐
북중국경의 철조망
‘한중 인문유대’ 관견
2012년을 보내며
분란 속의 동북아시아
‘힘내요, 일본!’의 뜻
중형국가의 국제적 공헌
싱가폴에서 해후한 한반도평화론
일본을 어떻게 도울까 ― 독도 사태를 보며
동북공정과 남북연합
9·11테러 이후의 한반도
아베가 만난 인도인들
오키나와의 교훈
G2시대, 대만의 선택
3부 _ 정책판단의 ‘황금잣대’
핵실험 이후
포로가 된 지방선거
시기심으로부터의 자유
다시 어린이를 살리는 길
‘배용준 증후군’의 이면
귀명창名唱이 그리운 시절
OX교육의 보복
보수의 위기, 진보의 위기
중국동포교수들의 충고
파병의 덫
대학축제 유감
낙선자들을 위하여
『동아일보』에 바란다 ― 균형감각의 회복
4월이 오면
베이징에서 만난 사람들
찍기 수능을 재고하자
파병과 ‘국익’
국치일을 기억하자
북핵과 동아시아의 평화
정책판단의 ‘황금의 척도’
개혁신당, 통합신당
기초를 튼튼히
4부 _ 기득권층의 개혁부터 먼저
구제역口蹄疫, 황사, 산불 그리고 총선
바닥이 변해야 정치도 변한다
떠나는 자의 아름다운 뒷모습을 보고 싶다
인도네시아 정치가 한국보다 낫다
건국 50주년을 맞이한 중국
기득권층의 개혁부터 먼저
문화를 통한 국민적 대통합
‘문화의 달’ 유감有感
국가의 우상과 시장의 우상 ―영어공용어론英語公用語論에 부쳐
권위의 위기
한국형 페미니즘을 위하여
북풍은 제갈공명의 동남풍이 아니다
누가 위기를 조장하는가?
언론·출판의 자유를 다시 생각한다
반구反求의 정신
국민은 계보원이 아니다!
화급한 대학개혁
대통령선거를 맞으며
5부 _ 비판적 지역주의로서의 인천학
비판적 지역주의로서의 인천학
동아시아 속의 인천
인천발發 아시아 문화비평지 『플랫폼』
축제의 뜻
문화라는 새 동력
6부 _ 인천사람, 인천문화
애기애타愛己愛他 민주주의
혜미 씨와 금희 씨
주인은 먼저 온 손님
산강山康의 귀환
인천에서 왜 지금 우현又玄을 다시 기리는가
살아있는 검여劍如
남전南田 선배를 추모함
이종구 화백 인천전에 부쳐
든 자리, 난 자리
인천문학을 위한 기원
인천문학의 재건
7부 _ 주민자치를 위하여
인천과 언론 ― 브 나로드 운동 다시 보기
새해 복이 소복소복
새해 아침편지
배다리의 눈물
지방분권과 지방방송
아벨전시관에서 배우자
인천자치 로드맵을 준비하자
스톡홀름에서 본 인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