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1인의 시각으로 쓴 연암 박지원 평전. 박지원과 관련된 열한 명 인물의 시각으로 박지원의 발자취를 좇고 있다. 여기에는 가족의 시각이 있는 한편, 박지원의 정적이자, 벗인 유한준이나 정조와 같은 조정의 인물들, 그리고 그가 스스로 평한 자신의 이야기도 있다.
목차
들어가며
Ⅰ 문장, 종로를 메운 게 모조리 황충이야!
01 유한준, 연암은 문둥이다 - 연암과 대등한 문재(文才)를 지닌 문장가요, 유자(儒者)로서 연암을 싫어하는 이유를 따진다
02 정조, 폐하! 문자전쟁이 일어났습니다 - 정조가 문체반정을 단행한 이유와 연암에 대한 생각을 기술한다
03 박규수, 『연암집』은 절대 간행할 수 없소 - 『연암집』 간행이 실패한 연유와 연암문학의 근대성, 개화기 지식으로서 고뇌를 함께 그린다
Ⅱ 성정, 개를 키우지 마라
04 오복, 연암을 얻다 - 연암이란 호를 얻게 된 경위와 낮은 백성들을 그린 「마장전」을 통해 연암을 이해한다
05 이씨 부인, 문 앞엔 빚쟁이가 기러기처럼 줄 섰고 - 남편 연암의 인간적인 면모와 가풍으로 잇는 가난을 그린다
06 박종채, 개를 키우지 마라 - 아들이 본 아버지의 인품을 가족을 중심으로 그린다
Ⅲ 학문, 기와조각과 똥거름, 이거야말로 장관일세!
07 이재성, 글쓰기는 전쟁이다 - 처남이 본 연암의 학문세계와 사상을 『역학대도전』을 중심으로 따라잡는다
08 백동수, 세상에 사내는 오직 너뿐이다 - 백탑파를 중심으로 연암의 벗과 제자의 면면을 살핀다
09 유언호, 이것이 주인의 예일세 - 천수로서 본 연암의 삶과 선비정신, 벼슬살이와 애민정신을 기술한다
Ⅳ 미래, 『연암집』이 갑신정변을 일으켰지
10 연암, 나는 조선의 삼류 선비다 - 자신이 글을 쓴 이유와 조선에 대한 사랑과 사상, 그리고 선비로서 고뇌의 길을 자전적으로 그린다
11 간호윤, 백지에 조선의 달빛 같은 글이 떨어진다 - 연암이 글을 쓴 뜻을 특히 소설을 중심으로 따라잡고 갑신정변으로 이어진 연암학을 본다
나가며
부록1_박지원의 주요 연보
부록2_연암 사망 후 관계 중요 기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