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학창시절에 배웠던 학교 문법의 체계를 중심축으로 하여, 그것이 우리말의 세계와 어떻게 관련될 수 있을지를 고민한 책이다. 이를 위하여 다섯 명의 필자는 음운 및 표기, 어휘, 문장, 담화에 이르는 각 영역이 어떻게 텍스트와 연계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였다.
목차
1. 음운 및 표기와 글 01 음운은 어떤 체계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바뀔까? 1 교양으로 통하는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1)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2 읽기로 통하는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1) 음운 체계를 이용하여 글쓴이의 의도 파악하기 (2) 음운 변동을 통해 글의 의미 파악하기 3 쓰기로 통하는 음운 체계와 음운 변동 (1) 음운 체계를 이용하여 표현 효과 살리기 (2) 음운 변동을 이용하여 의도 전달하기 02 우리가 따라야 하는 국어 규범에는 무엇이 있을까? 1 교양으로 통하는 국어 규범 (1) 한글 맞춤법 (2) 표준어 규정 (3) 외래어 표기법 (4) 로마자 표기법 (5) 표준 언어 예절 2 읽기로 통하는 국어 규범 (1) 국어 규범을 이용하여 글쓴이의 의도 파악하기 (2) 국어 규범을 통해 글의 의미 파악하기 3 쓰기로 통하는 국어 규범 (1) 국어 규범을 이용하여 표현 효과 살리기 (2) 국어 규범을 이용하여 의도 전달하기
2. 단어와 글 01 단어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될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단어 2 읽기로 통하는 단어 (1) 고유어의 맛을 살린 감각적 표현 즐기기 (2) 한자어의 권위성, 격식성 이해하기 (3) 외래어의 낯선 음상이나 효과 읽어내기 3 쓰기로 통하는 단어 (1) 고유어와 한자어의 특성을 살려 표현하기 (2) 단어의 느낌을 고려하여 글의 갈래에 어울리는 표현 구사하기 02 단어는 다른 단어와 어떠한 관계를 맺을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단어 2 읽기로 통하는 단어 (1) 단어의 의미 관계를 고려한 글의 구조 이해하기 3 쓰기로 통하는 단어 (1) 단어의 의미 관계(포함, 중첩, 상보)를 활용하여 문단 쓰기 (2) 단어의 의미 관계(다의, 동음이의)를 활용하여 인상적인 표현하기
3. 문장과 글 01 문장을 이루는 성분의 종류와 특징은 무엇일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문장 성분 (1) 문장 성분 (2) 문장 성분 간의 호응 (3) 어순 2 읽기로 통하는 문장성분 (1) 문장 성분으로 글의 의미 파악하기 (2) 어순 이동에 나타난 글쓴이의 의도 읽기 3 쓰기로 통하는 문장성분 (1) 문장 성분의 호응에 맞는 정확한 글쓰기 (2) 어순으로 효과적인 표현하기 02 문장은 어떻게 구성될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문장의 구성 (1) 문장의 짜임새 (2) 문장의 중의성 2 읽기로 통하는 문장의 구성 (1) 문장의 짜임새에 나타난 글의 표현 효과와 전략 이해하기 (2) 문장의 중의성에 나타난 표현 의도 추론하기 3 쓰기로 통하는 문장의 구성 (1) 문장의 짜임새 갖춰 정확하고 바르게 글쓰기 (2) 문장의 중의성 해소하기와 전략적으로 사용하기 03 문법 요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문법 요소 (1) 종결 표현 (2) 피사동 표현 (3) 높임 표현 (4) 시간 표현 (5) 부정 표현 (6) 인용 표현 2 읽기로 통하는 문법 요소 (1) 종결 표현에 나타난 글쓴이의 의도 파악하기 (2) 피사동 표현에 숨은 글쓴이의 의도 찾아내기 (3) 높임 표현에 있는 글쓴이의 표현 의도와 전략 이해하기 (4) 시간 표현에 나타난 표현 의미 이해하기 (5) 부정 표현의 의미 정확하게 파악하기 (6) 인용 표현에 나타난 글쓴이의 의도 파악하기 3 쓰기로 통하는 문법 요소 (1) 종결 표현으로 표현 효과 살리기 (2) 피사동 표현, 효과적이고 규범에 맞게 사용하기 (3) 높임 표현으로 글쓴이의 태도와 표현 의도 드러내기 (4) 시간 표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5) 부정 표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6) 인용 표현 전략적으로 사용하기
4. 담화와 글 01 담화란 무엇일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담화 (1) 담화의 개념 (2) 담화의 특성 2 읽기로 통하는 담화 (1) 맥락으로 통일성 파악하기 (2) 문법적 장치를 단서로 응집성 파악하기 3 쓰기로 통하는 담화 (1) 지시, 접속, 대용 표현으로 간결하게 표현하기 (2) 담화 구조 표지로 체계적인 글쓰기 (3) 독자가 추론할 수 있도록 간명하게 쓰기 02 담화는 어떻게 짜여 있을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담화 (1) 담화의 구성과 글의 전개 방식 (2) 담화의 구조 2 읽기로 통하는 담화 (1) 중심 내용과 뒷받침 내용 구분하기 (2) 담화 구조로 논지 전개 방식 이해하기 3 쓰기로 통하는 담화 (3) 필자의 논지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2) 체계적인 구조로 글쓰기 03 담화에는 어떤 유형이 있을까? 1 교양으로 통하는 담화의 유형 (1) 담화의 유형 (2) 담화의 종류 2 읽기로 통하는 담화의 유형 (1) 담화의 종류와 유형으로 담화의 기능 알기 (2) 담화의 종류와 맥락을 활용하여 깊이 읽기 3 쓰기로 통하는 담화의 유형 (1) 담화의 유형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2) 담화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형식으로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