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주체'라는 키워드를 통해 임화의 문학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문학 시인이자 평론가, 영화인이었으며, 카프(KAPF)의 위원장을 지낸 임화는 생전에 그가 남긴 시, 평론, 문학사론, 영화론 등 다방면에 걸친 저작을 남겼다.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임화의 '주체' 개념이다.
목차
머리말
서론
1. 문제제기-임화의 주체 개념
2. 임화연구의 방법론상의 과제-이식문화론과 탈식민주의 Postcolonialism
3. 임화연구의 변천 검토
4. 책의 구성
제1부 이야기시, 소설론, 언어론
제1장 문학의 정치주의화-예술대중화논쟁과 주체로서의 ‘전위’
1.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예술대중화란 무엇인가
2. 소련, 독일, 중국, 대만에서의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예술대중화논쟁
3. 일본의 예술대중화논쟁-나카노 시게하루의루카치·레닌적인 것
4. 식민지 조선의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예술대중화논쟁-김기진의 대중소설론과 임화의 ‘단편서사시’
제2장 식민지 ‘청년’ 주체의 정립과 식민지 풍경의 전경화-임화의 이야기시
1. 저작에서 차지하는 시 작품의 위치
2. 시 작품의 전반적인 특성
3. 이야기시 (1)-혈연을 노래하는 것
4. 이야기시 (2)-식민지 풍경의 전경화
5. 서정, 파토스, 감상주의
제3장 분열/조화와 전체성의 리얼리즘론-소설비평의 원리
1. 낭만주의와 ‘주체’-‘실천’의 강조와 관조주의 비판
2. 분열된 세계로서의 ‘세태’-「세태소설론」(1938.4)
3. 루카치 문예비평과 전체성론
4. 분열/조화의 소설론과 그 변질-세태소설, 전향소설, 농민문학
제4장 조선어의 위기와 민족어론
1. 문제의 소재
2.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10)의 발표와 찬반 논쟁-문학자들의 경우
3. ‘민족어’로서의 조선어가 놓인 위치
4. 민족어=조선어의 완성과 문학자의 역할
제2부 문학사론과 영화사론
제5장 「신문학사의 방법」과 ‘조선적인 것’
1. 임화의 문학사론과 ‘이식문학론’
2. 「신문학사의 방법」 비판에 대한 재검토
3. ‘조선문학’이란 무엇인가-「신문학사의 방법」(1940)에서의 또 하나의 쟁점
4. 문학사에서의 ‘조선적인 것’
5. ‘민족’을 상상하는 두 가지 형태
제6장 문학사 서술과 ‘민족’ 개념의 재편-「개설 신문학사」(1939~41)
1. 「개설 신문학사」와 학예사, 경성제대 아카데미즘
2. 문학사론 전체의 특성-낭만주의, 향토성, 반-복고
3. 한문학과 국문문학의 ‘지양’의 결과로서의 ‘신문학’
4. 신소설의 오락성과 정론성
제7장 테느와 식민지문학-조선과 대만에서의 수용 비교
1. 임화의 「신문학사의 방법」과 테느
2. 19세기의 테느와 20세기 유럽 비교문학
3. 대북제대의 비교문학과 테느-시마다 긴지와 황더시
4. 문학 생성의 장소로서의 ‘환경’-임화의 경우
제8장 영화사와 서사시적인 것
1. 영화에서의 ‘조선표상’과 그 대항물
2. 영화의 제작 주체로서의 조선
3. 다시 서사시로-영화 <복지만리>를 둘러싼 상상력
결론
[보론] 임화가 관여된 두 가지 재판과 그 공판자료
1. 평양에서 열린 숙청재판(1953.8)
2. 신건설사사건(1934.6)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