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구조방정식모형의 개요
1.1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개요
1.2 상관분석
1.3 편상관계수분석
1.4 스피어만 & 켄달타우 상관계수분석
1.5 회귀분석
1.5.1 단순회귀분석
1.5.2 다중회귀분석
1.6 요인분석
2장 구조방정식모형 이해하기
2.1 Stata에서 분석 가능한 구조방정식 모형
2.2 툴바 소개
2.3 sem과 gsem의 옵션 구분
2.4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프로세스
2.5 구조방정식모형 이해하기
2.6 구조방정식모형 추정 전반 이해하기
2.6.1 수정 전 구조방정식 모형
2.6.2 수정 후 구조방정식 모형
2.6.3 변수 간 효과 검증
2.6.4 모형적합도 검증
3장 예제로 배우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3.1 비재귀모형(Nonrecursive structural model)
3.2 다중지표 다중원인 모형(MIMIC model)
3.3 다중지표 다중원인 모형: 순서형 프로빗[MIMIC model(generalized response): ordered probit]
3.4 무한회귀모형[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3.5 고차확인적 요인분석(Hhger-order CFA)
3.6 상관 고유성 모형(Correlated uniqueness model)
3.7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3.8 단순요인분석 모형(Single factor pass/fail measurement model)
3.9 IRT 모형[IRT(Rasch) model]
3.10 2레벨 다층모형[2-level measurement model(multilevel, generalized response)]
3.11 매개모형(mediation model)
3.12 2레벨 다층모형(gsem)[2-level(with gsem)]
3.13 3레벨 다층모형[3-level(multilevel, generalized response)]
3.14 두 요인 모형[two-factor measurement model(generalized response)]
3.15 로짓회귀/다항로짓회귀(Logistic regression/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3.16 순서형 프로빗 및 순서형 로짓(Ordered probit and ordered logit)
4장 db sem 명령어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그리기
4.1 분석모형 그리기 및 분석
4.1.1 데이터 파일 열기
4.2 저자가 구성한 설문지 파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