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난관 극복하기-상담자 편 1장 상담자 자기점검 상담자가 흔히 겪는 문제들 상담자 융합과 회피 생각할 거리 2장 상담의 방향 잡기 사례 개념화의 기초 간략 사례 개념화 연습 활동지 시작점 찾기 3장 유연성과 강화 육각형 댄스 삼각형 댄스 모델링하기, 촉진하기, 강화하기 상담실 밖에서 효율적 행동 격려하기 차별적 강화 4장 원인과 보상 원인, 행동, 보상 기능 파악하기 자료 수집하기 효과적인 개입 만들기 기능 분석의 이점
제2부 난관 극복하기-내담자 편 5장 저항하는 내담자 주저하는 내담자의 마음을 얻어 내는 4단계 과정 수정하기 6장 초점 유지하기 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작하기 ACT 상담자들이 왜 새로운 전략을 시행하지 않는가 초점이 없거나 성과가 없었던 상담 회기 인정하기 상담 회기의 주제 합의하기 내담자 저항 다루기 과녁 활동지를 활용하여 상담 회기의 주제 정하기 이탈과 참여 기술 7장 가치 작업하기 가치 작업의 시기 정하기 가치 작업 시작하기 가치 작업에서 흔히 발견되는 걸림돌 8장 정중히 끼어들기 멈추지 않는 내담자 비효율적인 행동을 약화시키는 6단계 9장 “그냥 없애 버리고 싶다고요!” 수용으로 향하는 길 열기 수용 작업에서 흔히 발견되는 걸림돌 10장 끈질긴 생각 다루기 주지화하기 내담자를 타당화해 주지 않기 융통성 없이 기법 사용하기 가짜 탈융합 격려하기 세 가지 고전적인 기법들 천천히, 조금씩 긍정적인 생각, 부정적인 생각-둘 다로부터 탈융합하기 11장 자기 안에 갇혀 있는 상태 자기에 꼬리표 붙이기 자기를 미발달시키기 자기에게서 분리되기 자기 관련 문제 다루기 유연한 조망 수용: 맥락으로서의 자기의 ‘확장된’ 정의 초월 작업에서 흔히 발견되는 걸림돌 12장 내담자에게 동기 부여하기 전략 1: 목표를 가치와 연결시키기 전략 2: 효과적으로 목표 설정하기 전략 3: 천천히, 조금씩 진행하기 전략 4: 채찍 대신 당근 사용하기 전략 5: 장애물 예상하기 전략 6: 손실에 대해 직면하기 전략 7: 기꺼이 하는 마음 함양하기 전략 8: ‘이유 대기’로부터 탈융합하기 전략 9: 사회적 지지 모으기 전략 10: 상기시켜 주는 메모 사용하기 13장 딜레마 작업하기 단계 1: 즉효약은 없다는 것 확실히 하기 단계 2: 손실과 이득 분석하기 단계 3: 완벽한 해결책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단계 4: 선택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설명하기 단계 5: 오늘의 선택을 인정하도록 요청하기 단계 6: 자신의 입장 표명을 하도록 격려하기 단계 7: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권장하기 단계 8: 이야기에 이름을 붙이도록 돕기 단계 9: 확대를 연습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단계 10: 내담자가 자기연민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기 지속적인 연습 격려하기 14장 자신을 따뜻하게 안아 주기 자기연민 마지막 방책인가, 시작점인가 의뢰해야 하는 상황 자신을 따뜻하게 안아 주기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청소년 이해를 위한) 심리학2018 / 공저: Pierce J. Howard, Jane Mitchell Howard ; 역: 김동일 / 학지사
마음에 빨간약 바르기 : 나를 위로하는 1분 심리 치유2008 / 하토 가오리 지음 ; 황소연 옮김 / 이미지박스
마음에 빨간약 바르기 : 나를 위로하는 1분 심리 치유2008 / 하토 가오리 지음 ; 황소연 옮김 / 이미지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