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1부 역사수업 연구공동체의 등장과 지향 / 김민정, 윤종배
1장 역사수업연구분과의 출범
1. 역사수업연구분과의 시작: 소박한 출발과 꿋꿋한 전개
2. 수업 연구공동체로서 분과: 인적 구성과 수평적 리더십
2장 수업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
1. ‘좋은 역사’ 수업에 대한 호기심: 책으로 빗장 열기
2. 수업 보기와 반성: 수업을 다각도로 보는 연습
3. 새로운 수업 만들기: 공동의 수업 구상과 실행 연구
2부 역사수업 구상과 실행 1: 3·1 운동 수업, ‘역사가처럼 읽기’의 적용 / 정미란, 이춘산
1장 역사를 역사답게 가르치기 위한 궁리
1. 《역사가처럼 읽기》와의 마주침
2. ‘역사가처럼 읽기’의 적용
2장 3·1 운동 수업의 실행과 변주
1. 3·1 운동 수업 시나리오 구상
2. 공동의 수업 실행과 중심 질문의 수렴
3. 3인 3색의 수업과 중심 질문의 변화
1) 3·1운동 대표자 선정 수업
2) 3·1운동 민족대표 수업
3) 졸업식 만세 운동 역할극 수업
3부 역사수업 구상과 실행 2: 고려시대 수업, 교과서 서사의 재구성 / 송치중, 김슬기, 이은주
1장 새로 엮은 고려시대 수업
1. 새로운 도전, 교과서 서사는 완전무결한 것일까?
2. 천천히, 긴 호흡으로 고려시대사 공부 시작하기
2장 고려사 수업 실행과 확장
1. 서희의 담판을 외교적 맥락에서 보다
1) 서희의 외교 담판 서사에 대한 고민과 수업 궁리
2) 서희의 외교 협상 수업
2. 공민왕 반원자주화 정책의 목적을 다시 묻다
1) 공민왕 반원자주화 서사에 대한 고민과 수업 궁리
2) 공민왕의 반원자주화 다시보기 수업
3장 교과서 서사의 해체와 수업 구상
4부 역사수업의 두 날개: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성찰 / 윤종배, 정미란
1장 학생의 배움을 고민하는 교사의 성장
1. 수업을 본다는 것: 수업 성찰, 어떻게 해야 할까?
2. 수업 성찰 사례: 수업의 주요 장면 되새기기
3. 수업 성찰의 새로운 접근법: 깊이 있는 성찰 방법의 모색
2장 학생의 역사 이해를 반영하는 역사수업
1. 역사수업에서 학생의 역사 이해를 살펴야 하는 까닭
2. 학생의 역사 이해를 반영하는 역사수업, 어떻게 할까?
1) 한반도의 주인이 된 신라 수업
2) 공민왕의 반원자주화 다시보기 수업
3) 졸업식 만세 운동 역할극 수업
5부 교사연구자와 역사수업 연구의 새로운 지평 / 김민정, 이은주
1장 역사수업 연구와 교사의 성장
1. 역사수업 연구자로서 교사
2. 역사교육 이론의 프로슈머로서 교사
3. 역사과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2장 수업 연구공동체의 과제와 전망
1. 수업 연구 확산의 플랫폼으로서 연구공동체
2. 수업 연구공동체의 전망: 새로운 연구공동체에 말 걸기
부록
부록1 학습지
부록2 역사수업 연구 관련 참고도서
부록3 수업 후 협의 녹취록(일부)
부록4 역사수업 보기 프로토콜
부록5 역사수업연구분과가 걸어온 길
역사교육연구소, 역사수업연구분과 소개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