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다루려 할 때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미메시스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은 문학과 현실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질문하고 대답한다. 문학작품의 내용은 현실과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목차
서문 1 게오르크 루카치, 총체적 반영론과 서사 이론 2 테오도르 아도르노, 변증법적 형식주의와 미메시스 3 발터 벤야민, 언어적 미메시스와 예술적 미메시스 4 자크 데리다와 폴 드 만, 미메시스와 현전의 형이상학 5 프레드릭 제임슨, 마르크스주의 해석학과 미메시스론의 재구성 6 질 들뢰즈, 미메시스 예술론에서 도주하기 후기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2017 / 지은이: 피터 브룩스 ; 옮긴이: 박인성 / 문학과지성사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2017 / 지은이: 피터 브룩스 ; 옮긴이: 박인성 / 문학과지성사
문학이란 무엇인가2017 / 지음: 장 폴 사르트르 ; 옮김: 김붕구 / 문예출판사
현대 문학 이론 개관1999 / 라만 셀던 ; 피터 위도우슨 ; 피터 부루커 지음 ; 정정호 외 옮김 / 한신문화사
문학과 실존 : 현대문학과 실존철학의 대화2014 / 신옥희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문학과 실존 : 현대문학과 실존철학의 대화2014 / 신옥희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움베르토 에코의)문학강의2005 / 움베르토 에코 [지음] ; 김운찬 옮김 / 열린책들
포스트미메시스 문학 이론 : 루카치에서 들뢰즈까지2018 / 지음: 오길영 / 느티나무책방
새로운 문학을 위하여 2024 / 지음: 오에 겐자부로 ; 옮김: 이민희 / 21세기문화원
읽는 행위 : 부서지는 인간-활자 너머의 어둠 2024 / 지음: 오에 겐자부로 ; 옮김: 남휘정 / 21세기문화원
쓰는 행위 : 문학 노트 2024 / 지음: 오에 겐자부로 ; 옮김: 정상민 / 21세기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