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 휴머니티즈 총서 7권. 아시아, 극동, 오리엔탈, 유라시아, 대동아 …. 이 책은 아시아를 둘러싼 다양한 '유토피아'들을 지도 위의 실질적인 장소 속에 안착시키고자 했던 조선인들의 문학적.문화적 시도들을 조명한다.
목차
서문 아시아, 헤테로토피아의 길목에서
제1부 프롤로그 : 식민지 조선인들, 제국의 아시아 정체성에 트러블을 일으키다 제2부 아시아 지역/정체성 상상의 흐름과 트러블의 요소들 제3부 지역적 사유의 전개와 피식민 주체들의 공간 이동 제4부 제국의 대동아 권역과 탈중심화된 시/공간의 가능성 제5부 에필로그: 해방 이후의 좌표와 제국 내/외부의 범세계적 연대들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일본제국의 '동양사' 개발과 천황제 파시즘 2022 / 지음: 이태진 / 사회평론아카데미
(옆으로 읽는)동아시아 삼국지. 12013 / 이희진 지음 / 동아시아
(역사 선생님이 들려주는)친절한 동아시아사2017 / 전국역사교사모임 글 ; 송진욱 그림 / 북멘토
현장은 역사다 : 전선기자 정문태가 기록한 아시아 현대사2010 / 지은이: 정문태 / 아시아네트워크
처음 읽는 동아시아사. 1, 선사 시대부터 18세기까지2016 / 신주백 외 지음 / 휴머니스트
키스, 동양의 창을 열다 : 영국 화가가 그린 아시아, 1920~19402012 / 엘리자베스 키스 지음 ; 송영달 옮김 / 책과함께
바다에서 본 역사 : 개방, 경합, 공생-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2018 / 하네다 마사시 엮음 ; 조영헌, 정순일 옮김 / 민음사
아시아 트러블 : 아시아 지역 정체성 상상과 탈중심의 문화지리학2018 / 하신애 지음 / 앨피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2018 / 전덕재 외 지음 / 역사산책
유라시아주의의 재해석 : 새로운 인문지리로서의 유라시아2016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엮음 / 민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