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언어학과 복합지식 총서 9권. 세 개의 언어와 그를 통해 표출되는 각양각색의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한 권의 책 속에 일관되게 담아낼 것인가를 고민하며 쓴 책이다.
목차
▪ 머리말
제1부 한국 사회의 역동성과 한국어의 다양성 ▪ 한국의 지역어와 지역문화의 현대적 의미 / 김무식 1. 머리말 2. 한국어와 한국문화 3. 지역어와 지역문화 4. 청송·고령지역어의 새로운 어휘 5. 지역어의 현대적 가치
▪ 현대 한국어 [+사람] 신어의 사회·문화적 의미 / 남길임·송현주·최준 1. 머리말 2. 웹기반 한국어 신어 추출기의 개발과 신어 추출 3. 신어 유형에 대한 양적 분석: 어종과 사용 분야 4. 사례 연구: [+사람]을 나타내는 신어 5. 결론
▪ 남북한 친족 호칭어 비교를 통해 본 언어문화적 차이 / 양수경 1. 머리말 2. 남북한 친족 호칭어, 어떻게 다른가 3. 남북한 친족 호칭어의 차이점과 공통적 방향성 4. 결론
▪ 한국 사회의 갈등 구조와 혐오표현의 문제 / 조태린 1. 머리말 2. 혐오표현이란 무엇인가 3. 혐오표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4. 혐오표현이 왜 문제인가 5. 혐오표현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제2부 급변하는 중국, 생동하는 중국어 ▪ 시진핑 연설문의 언어적 특징과 정치·문화적 함의 / 강병규 1. 머리말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군집 분석 방법을 활용한 연설문의 유형 분류 4. 시진핑 연설문의 어휘 속에 담겨 있는 정치 문화적 함의 5. 시진핑 연설문의 수사기법과 정치적 활용 6. 결론
▪ 글로벌 중국어 어휘 차이로 보는 세계의 중국인 사회 / 김석영 1. 머리말 2. 글로벌 중국어의 분포 3. 지역 간 어휘 차이 4. 지역별 어휘 공유 양상 5. 결론
▪ 최근 중국어 음역어 조어(造語) 양상을 통해 본 중국 사회의 문화심리 분석 / 김태은 1. 머리말 2. 조어 유형에 따른 중국어 음역어 분류 3. 음역어에 반영되는 중국의 사회와 문화 4. 음역어가 중국어 어휘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 신어(新語)로 이해하는 중국 사회 / 박지영 1. 머리말 2. 2013-2017년 신어 분석 3. 결론
제3부 일본 언어경관의 일면, 삶과 교육 속의 일본어 ▪ 회화 데이터 분석의 ‘연구와 실천의 연계’ 가능성을 탐색한다 / 나카이 요코(中井陽子)·도라마루 마스미(寅丸真澄)오오바 미와코(大場美和子)·마스다 마사노부(増田将伸) 1. 머리말 2. 회화 데이터 분석의 ‘연구와 실천의 연계’에 관한 조사 개요 3. 회화 데이터 분석의 역사적 변천 4. 일본 국내의 조사 보고 5. 일본 국내·한국의 조사 보고 6. 미국의 조사 보고279 7. 결론
▪ 繪入智慧の環 연구 / 윤영민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繪入智慧の環 初編 上下권의 분석 4. 결론
▪ 오사카(大阪) 닛폰바시(日本橋)의 다언화와 지역적 특징 / 이소노 히데하루(磯野英治)·우에나카 준(上仲淳) 오히라 사키(大平幸)·다나카 마이(田中真衣) 1. 머리말 2. 조사 개요 3. 다언어 상황 4. 특징적인 언어 경관 5. 결론
▪ 일본사회에 확대되는 제삼자언어 접촉장면 / 하루구치 준이치(春口淳一)·윤지현(尹智鉉) 1.머리말 2.조사 방법 3.분석 결과 4. 결론 5. 제언
▪ 저자소개
서가브라우징
뉴질랜드 : 세계의 풍습과 문화가 궁금한 이들을 위한 필수 안내서2018 / 지음: 수 버틀러 ; 릴야나 오르톨야-베어드 ; 옮김: 박수철 / 시그마북스
(교과서 밖에서 배우는)사회공부2015 / 정은교 지음 / 살림터
(청소년을 위한) 사회문화 에세이 = Social culture : 구정화 교수와 함께 통계로 세상 읽기2014 / 구정화 지음 / 해냄
(청소년을 위한) 사회문화 에세이 = Social culture : 구정화 교수와 함께 통계로 세상 읽기2014 / 구정화 지음 / 해냄
공동체 없는 공동체2020 / [외]지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 알렙
(사람이 존재하는 한 반드시 그어지는)슬픈 경계선2020 / 지음: 아포; 옮김: 김새봄 / 추수밭
(이어령의)가위바위보 文明論2015 / 이어령 지음 / 마로니에북스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 = Societies and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flected on their languages2018 / 엮은이: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김무식, 남길임, 송현주, 최준, 양수경, 조태린, 강병규, 김석영, 김태은, 박지영, 나카이 요코, 도라마루 마스미, 오오바 미와코, 마스다 마사노부, 윤영민, 이소노 히데하루, 우에나카 준, 오히라 사키, 다나카 마이, 하루구치 준이치, 윤지현 / 한국문화사
블랙 코리아 = Black Korea : 청년백수, 비혼, 출산거부 등 어둠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 보고서2017 / 지음: 권기둥 / 길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