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문학·영문학·불문학·독문학·러시아문학·중문학·미학 등을 전공한 연구자들이 2003년 결성한 비평동인회인 '크리티카'의 성과를 모은 책이다. 벤야민, 프레드릭 제임슨, 로런스, 루카치, 바흐친, 사르트르, 아도르노 등의 작가가 저술한 비평 또는 작품에 크리티카 동인이 해설을 덧붙였다.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소설의 미래 / 데이비드 로런스
「소설의 미래」와 로런스의 소설미학 / 김성호
2장
옮긴이의 말: 루카치와 케슬러의 글을 읽기 전에 / 김경식
소설 /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론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한 토론의 결어(結語)를 위한 테제들 /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유물론적 소설 장르론을 위한 입지 모색 / 페터 케슬러
3장
이야기꾼: 니콜라이 레스코프의 작품에 대한 고찰 / 발터 벤야민
서사정신의 회복을 위하여: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 / 임홍배
4장
문학 장르로서의 소설 / 미하일 바흐친
바흐친의 발표문에 붙이는 테제들 / 미하일 바흐친
바흐친의 소설이론: 「문학 장르로서의 소설」 또는 「서사시와 소설」 읽기 / 변현태
5장
『이방인』 해설 / 장폴 사르트르
「『이방인』 해설」과 사르트르의 소설 기법론 / 윤정임
6장
동시대 소설에서 화자의 위치 / 테오도어 아도르노
아도르노 이후: 동시대 유럽 소설의 화자 / 데이비드 커닝엄
7장
역사 속의 『율리시스』 / 프레드릭 제임슨
프레드릭 제임슨의 『율리시스』 읽기 / 이경덕
8장
『외침』 자서 / 루쉰
『아Q정전』 제1장 서문 / 루쉰
루쉰의 ‘소설 모양의 문장’에 관한 소론 / 이보경
9장
「川邊風景」과 「날개」에 關하야─리아리즘의 擴大와 深化 / 최재서
리얼리즘-모더니즘 범주 (재)구성의 감각과 효과: 최재서의 「리아리즘의 擴大와 深化─「川邊風景」과 「날개」에 關하야」에 대하여 / 박상준
10장
세태소설론 / 임화
임화의 「세태소설론」 읽기: 본격, 세태, 심리, 통속소설 / 조현일
11장
소설은 왜 읽는가 / 김현
소설과 욕망: 김현의 「소설은 왜 읽는가」 읽기 / 오길영
12장
황석영 장편소설 『손님』: 한반도에서 화해와 평화 찾기 / 백낙청
소설과 리얼리즘─「황석영의 장편소설 『손님』: 한반도에서 화해와 평화 찾기」를 중심으로 / 황정아
저자 약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