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삶을 위한 서울대학교 학자 6인의 융합적 진단. 한국과 한국인이 아픈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을 넘어 인간관계와 사회 구조상의 병리를 파악해, 아픔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다차원의 치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목차
서문_‘사회적 건강’과 ‘사회적 웰빙’을 향하여
1부 왜 사회적 웰빙인가?: 사회-정신-건강의 새로운 모델 찾기 1장 왜 사회적 웰빙인가 1. 아픈 개인, 아픈 사회 2. 의료 중심 접근의 한계 3. ‘마음의 사회학’이 여는 가능성 4. 건강의 다면성과 다차원성 2장 사회적 웰빙의 구성 요소 1. 개인 건강 2. 사회적 건강 3. 개인 건강과 사회 건강의 관련성 3장 한국인의 사회적 웰빙의 특징 1. 한국인의 사회적 웰빙 조사 2. 사회적 웰빙의 4가지 영역과 역량 3. 인구 집단별 사회적 웰빙 양상 4. 특별히 취약한 사람들
2부 누가 아픈가?: 실증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의 사회적 웰빙 현황 1장 누가 건강한가? 1. 신체적 건강 상태 2. 주관적 건강과 건강 불안감 3. 정신적 건강 상태 4. 개인적 스트레스 5. 직장 스트레스 6. 사회적 스트레스 7.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의 관계 2장 다른 나라보다 건강한가? 1. 수명과 건강 인식의 괴리 2. 우울감과 정서적 불균형 3. 높은 자존감과 낮은 회복 탄력성 4. 사회적 지지의 결핍 5. 낮은 공동체 소속감 6. 세대 간 계층 간 격차 7. 높은 격차 낮은 삶의 만족도 3장 사회적 웰빙의 핵심 조건들 1. 삶의 질과 행복 2. 행복의 구성 요인들 3.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
3부 왜 아픈가?: 사회적 고통의 장애물 찾아내기 1장 장애물 찾아내기 1. 사회적 웰빙을 가로막는 것들을 ‘어떤 방법’으로 알아볼까? 2. ‘누구를 통해’ 사회적 웰빙을 가로막는 것들에 관해 알아볼까? 3. 사회적 웰빙을 가로막는 것들에 관한 토의 내용을 어떻게 분석할까? 4. 사회적 웰빙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키워드들 5. 스트레스를 중심에 놓고 살펴본 사회적 웰빙의 장애물 6.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난 사회적 웰빙의 방해물 7. ‘한국인의 사회적 웰빙을 가로막는 것들’: 통합 주제 찾기 8. 사회가 아프니 마음이 아프고, 마음이 아파서 몸도 아프다 2장 사회의 무게가 버겁다: 고뇌하는 청년 세대 1. 세월의 무게, 삶의 무게, 사회의 무게 2. 왜 청년 세대는 괴로워하는가? 3. 과거 사회와는 무엇이 다른가? 4. 괴로움을 견디다 못해 아프다 5. 여성들은 회복이 더 어렵고, 남성들은 더 불행하다 3장 고립되니 아프다 1. 우리는 더 외로워지고 있는가? 2. 내가 만약 도움이 필요할 때면 누가 날 도와주지? 3. 누가, 어떤 상황에서 고립되는가? 4. 고립되니 몸도 마음도 아프다 5. 사회적 배제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4장 백 없으니 힘들다 1. 성공하려면 백이 있어야 한다? 2. 연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3. 연줄주의자들의 마음은 건강하지 않다 4. 연줄 사회의 마음 건강도 좋지 않다 5. 연결 사회와 연줄 사회는 다르다 6. 능력 사회가 답이라고? 7. 성공의 패러다임을 바꿀 때다 5장 비교하니 괴롭다 1. 무너지는 공동체 2. 사회관계의 양면성 3. 한국인의 사회관계, 얼마나 활발한가? 4. 한국인의 비교 성향 5. 정말 사회관계의 부작용이 있을까? 6. 비교 스트레스가 개인과 사회를 고장 낸다
4부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개인-관계-사회 차원의 대안 모색 1장 개인 차원의 대안 1. 몸을 잘 다스려 건강하자 2. 운명이란 허상에서 벗어나도록 비판적 의식을 기르자 3. 성공의 눈높이를 바꾸자 2장 관계 차원의 대안 1. 건강한 사회관계를 위하여 2. 사회적 웰빙은 더불어 잘 사는 것 3. 타인과 사회에 대한 감수성 기르기 4. 좋은 관계 맺기를 위한 물질적·시간적 여유 보장받기 5. 구멍 난 사회관계를 이을 수 있는 시스템 만들기 6. 공동체 내 사회 자본 쌓기 3장 사회 차원의 대안 1. 국민 웰빙 계정을 만들자 2. 투명성을 높일 확실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자 3. 제도의 공공성을 높여 공화를 실현하자
참고 문헌 사회적 웰빙 연구 관련 출간 목록 색인
서가브라우징
가장 보통의 차별 2023 / 지음: 전혼잎 / 느린서재
자기만의 방 : 고시원으로 보는 청년 세대와 주거의 사회학2011 / 정민우 지음 / 이매진
자기만의 방 : 고시원으로 보는 청년 세대와 주거의 사회학2011 / 정민우 지음 / 이매진
공격 사회 :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 : [청소년] 2024 / 지음: 정주진 / 철수와영희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2019 / 글: 정주진 / 철수와영희
정주진의 평화 특강 : 가짜뉴스, 난민, 국가 폭력, 민족주의, 환경으로 살펴본 평화 이야기 2019 / 글: 정주진 / 철수와영희
세상을 바꾼 10대들, 그들은 무엇이 달랐을까? : [청소년] 2024 / 지음: 정학경 / 미디어숲:
아픈 사회를 넘어 : 사회적 웰빙의 가치와 실천의 통합적 모색2018 / 지음: 조병희 ; 이재열 ; 구혜란 ; 유명순 ; 박상희 ; 양준용 / 21세기북스
위험사회 : 왜 대한민국의 위기는 반복되는가? : 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최순실 게이트까지2017 / 지음: 조재형 / 에이지21
위험사회 : 왜 대한민국의 위기는 반복되는가? : 세월호, 가습기 살균제, 최순실 게이트까지2017 / 지음: 조재형 / 에이지21
청소년 사전 : 부모와 아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쓴다2012 / 조재연 지음 / 마음의숲
청소년 사전 : 부모와 아이는 서로 다른 언어를 쓴다2012 / 조재연 지음 / 마음의숲
힘내지 않아도 괜찮아 : 길 위에 선 아이들과의 인터뷰2015 / 주원규 지음 / 다른
손 안에 갇힌 사람들: 화면 중독의 시대, 나를 지키는 심리적 면역력 되찾기2023 / 지음: 니컬러스 카다라스 ; 옮김: 정미진 / 흐름출판
커버링 : 민권을 파괴하는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2017 / 지음: 켄지 요시노 ; 옮김: 김현경 ; 한빛나 ; 감수: 류민희 / 민음사
같이 빌린 책
리밸런싱 = Rebalancing : 2019년 이후의 경제 충격 현황에 관하여2018 / 지음: 박홍기 / 좋은땅
차별이란 무엇인가 : 차별은 언제 나쁘고 언제 그렇지 않은가2016 / 지음: 데버러 헬먼 ; 옮김: 김대근 / 서해문집
집을 짓고 건축가를 만나라 : 건축가가 들려주는 후회 없는 집짓기2014 / 강미현 지음 / 효형출판
차별한다는 것 : 차별을 알면 다름이 보인다2018 / 글: 권용선 ; 그림: 노석미 / 너머학교
한국의 논점 2019 : 현재와 미래를 바꾸기 위한 42가지 제언2018 / 고한석 외 지음 ; 강양구 외 엮음 / 북바이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