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존에는 연간 사업계획 수립과 달성 전략 수립까지였다면, 이 책은 그 이후 실행관리까지 다룬다. 연간 사업계획 수립을 설정하는 데 목표를 두는 것이 아니라, 성과를 만들어 내는 ‘괜찮은 성과 도구’로 목표를 정하고 성과 도구로 사용한다.
목차
프롤로그
1부 연간 사업계획 수립의 개념, 필요성, 좋은 점 외
2부 연간 사업계획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
Ⅰ. 내년도 목표 매출을 설정하라
1) 금년도 사업평가
2) 내년도 새로운 사업기회 찾기
3) 내년도 목표 매출 설정 - 내년도 목표 매출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
Ⅱ. 내년도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1) 전략이란?
2) 전략을 어떤 단계로 수립할 것인가?
3) 실행이 계획대로 안 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
3부 연간 사업계획 수립 후 어떻게 목표 달성 실행관리를 할 것인가?
Ⅲ. 목표 달성 핵심 업무(KPA)를 찾으라 - 4가지 KPA
1) KPA란?
2) KPA의 종류
3) 4가지 KPA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Ⅳ. 연간 사업계획 수립 후 KPA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 KPA 업무 바인더를 통해 관리하라
1) KPA 업무 바인더 앞에 연간목표&달성전략, 찾아낸 4가지 KPA 리스트를 첨부한다
2) KPA를 일별, 주간별, 월별, 분기별로 나누어 업무 바인더에 넣어 관리하라
3) KPA 진행을 주간별로 체크 관리하라
4) 주 1회 피드백하라
Ⅴ. KPA를 기준으로 목표 달성 실행을 관리하라
1) 우선순위가 아닌 KPA에 집중하라
2) 가짜 업무를 제거함으로 KPA 업무 시간을 늘려 성과를 낸다
3) 매주 피드백을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로 진행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