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Ⅰ부 에로스와 '사이'의 정신
1장 에로스의 통시성: 플로티노스의 에로스와 비교하며
(1) 영혼과 초월성의 문제: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사이에서
(2) 영혼의 발생: 존재의 시작으로서 유출 또는 분리
(3) 영혼의 본질: 일자 또는 타자에의 에로스
(4) 영혼의 운동과 목적: 초월성이란 무엇인가?
(5) 운명애란 무엇인가?
2장 너와 나 사이의 가까움: ‘사이’의 정신이란 무엇인가?
(1) 사이의 ‘있음’과 공공세계
(2) 역동적 삶의 세계와 상생을 위한 ‘사이’의 정신
(3) ‘사이’의 가까움과 역동성: 사이의 힘으로서 에로스
(4) 행복의 가치로서 이타주의
(5) 새로운 사회성의 실천을 위한 교육이란?
Ⅱ부 탈(脫 )코기토의 주체성과 타자로서의 주체 물음
1장 탈코기토의 주체성과 실존의 문제: 레비나스와 메를로퐁티
(1) 탈코기토의 현대적 이해
(2) 레비나스의 코기토주의 비판: 타자 중심의 주체성과 ‘가까움’
(3) 메를로퐁티의 코기토주의 비판: 신체 중심의 주체성과 신체 교감
(4) 너와 나의 공동체를 위한 교제와 익명성의 실존 윤리
(5) 우리는 왜 새로운 주체의 출현에 관심을 갖는가?
2장 주체의 타자욕망과 정신분석학: 레비나스와 라캉
(1) 주체의 불확실성: 죽음과 부조리
(2) 주체의 원초적 욕망: 부재와 결여 그리고 향유
(3) 주체욕망의 재구성과 대타자의 욕망
(4) ‘아버지의 이름으로’, 신적 부성 또는 팔루스?
(5) 새로운 주체윤리의 가능성을 위해
3장 다문화 공동체 사회와 타자의 문제
(1) 다문화 사회의 윤리적 부재를 넘어서서
(2) 무엇이 너와 나 사이의 소통의 윤리를 가능케 하는가?
(3) 나와 타인들 사이의 책임의 윤리란 무엇인가?
(4) 다와 타를 위한 새로운 공동체의 정신이란 무엇인가?
(5) 소통과 책임의 윤리에 관해
Ⅲ부 베르그송 이후 애매성의 존재 이해와 그 표현들
1장 베르그송의 생명철학과 비결정성
(1) ‘비결정성’, ‘있음’의 새로운 질서
(2) 베르그송의 신체-지각 이미지와 그 애매성
(3) 새로운 무한의 관념으로서 애매성의 사유들
2장 지각, 신체, 타자의 애매성: 메를로퐁티, 들뢰즈, 레비나스
(1) 베르그송과 메를로퐁티: 지각의 초월성으로
(2) 베르그송과 들뢰즈: 지속의 애매성, 창조적 생성을 위한 분화?
(3) 베르그송과 레비나스: 타자의 초월성과 애매성
3장 지각의 존재론적 이해와 현대 미학
(1) 예술적 이미지란? 사유와 지각 사이에서
(2) 포스트모던 시대 예술적 이미지의 근거들
(3) 사물의 있음에 대한 지각 이미지의 예술적 재구성
(4) 베르그송 이후 지각의 이미지와 잠재성
(5) 지각의 새로운 자각과 예술정신
Ⅳ부 존재의 타자성과 '탈존(脫存)'의 형이상학
1장 레비나스의 탈(脫)주체화와 타자성의 이미지
(1) 타자성의 철학적 사유
(2) 시간의 이미지
(3) 공간의 이미지
(4) 타자의 이미지
(5) 그 밖의 타자성의 미학적 차원들: 샤갈과 에셔
(6) 실존적 삶의 타자성과 그 이미지에 관해
2장 메를로퐁티의 지각 중심주의와 살의 현상학
(1) 철학과 예술의 새로운 소통 가능성
(2) 몸과 공간의 현상학적 사유: 메를로퐁티의 신체도식과 나르시시즘
(3) 자연과 사물세계의 예술적 사유: 세잔의 회화 구도, 형태, 색채
(4) 자연성과의 내적 소통을 위한 미학
3장 들뢰즈의 신체 형상과 지각의 형이상학
(1) 존재의 형상을 표현하는 회화예술
(2) 감각의 근거: 잠재성, 형상과 아플라 사이에서
(3) 감각의 발생: 차이, 층리들의 교차들 사이에서
(4) 감각의 분화와 무한성: 지속, 선형적 존재들의 동선들 사이에서
(5) 회화적 형상이 갖는 의미란
찾아보기